<노벨문학상 수상자 작품 함께 읽기> 20기 : 앨리스 먼로 《디어 라이프》

<노벨문학상 수상자 작품 함께 읽기> 20


 앨리스  먼로 《디어 라이프》 




문학이 우리에게 새로운 생각과 감수성을 일깨울 때 그 일깨움 안에 문학의 의미는 존재합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이해가 이토록 어려운 일이라 해도,
문학은 저마다 자신의 경험에만 갇혀 있는 사람들 사이에 소통을 가능케 합니다.

— 가오싱젠의 창작에 대하여 (돌베개, 2020, 58)


노벨문학상은 "이상(理想)적인 방향으로 문학 분야에서 가장 눈에 띄는 기여를 한 분께" 수여하라는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1901년부터 해마다 전 세계의 작가 중 한 사람에게 주는 상입니다여기에서 "기여"란 한 작가가 쓴 작품 전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스웨덴 한림원이 특정 연도에 상을 받을 사람을 결정하며 수상자의 이름을 10월 초에 발표합니다.


<노벨문학상 작품 함께 읽기> 20기2013년 수상한 캐나다 작가 앨리스 먼로의 단편소설집 디어 라이프를 함께 읽습니다



 

앨리스 먼로는 섬세한 스토리텔링으로 찬사를 받는 작가로,

명징성과 심리적 사실주의가 그 특징이다.

비평가들은 먼로를 캐나다의 체호프라고 부른다. ()

먼로의 글은 일상적이나 결정적인 사건들, 그런 에피파니를 다루면서,

이를 둘러싼 이야기를 조명하고

실존적인 문제를 섬광 같은 번뜩임 속에 드러낸다.”

  2013년, 앨리스 먼로, 노벨상문학상 선정 이유


앨리스 먼로1931년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농장을 운영하는 아버지와 교사 출신인 어머니 밑에서 자라며 어린 시절부터 작가가 되기를 꿈꾸었습니다. 서른일곱 늦은 나이에 첫 번째 소설집 행복한 그림자의 춤을 출간하며 작가로 데뷔했습니다. 이 작품으로 총독문학상을 수상하며 주목받는 작가로 떠올랐고, 발표하는 작품마다 여러 문학상을 휩쓸며 영어권을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했습니다

1978
너는 네가 누구라고 생각해?1986사랑의 경과로 세 차례나 총독문학상을 수상하는 기록을 남겼습니다. 1998착한 여자의 사랑2004떠남으로 길러상을 두 번 수상했습니다. 그녀의 작품은 캐나다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널리 읽히며 미국에서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 오헨리상, /맬러머드 상 등을 받았습니다. 짧은 이야기 속에 복잡하고 미묘한 삶의 한순간을 아름답게 그려낸다는 평가 속에 2013노벨문학상을 수상했습니다. 

디어 라이프 앨리스 먼로가 2012년 발표한 단편소설집으로 오랜 커리어의 절정”, “작가로서의 능력이 최고조로 발휘된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 작품집에는 그녀가 어린 시절을 회고하며 쓴 표제작 <디어 라이프>를 포함해 열 네 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2012년 오헨리상 수상작인 <코리>, 남편과의 결혼생활에 권태를 느낀 한 젊은 시인의 희망을 그린 <일본에 가 닿기를>, 전쟁터에서 고향으로 돌아가던 한 남자가 연인으로부터 도망치는 기차등 삶의 역동적이고 복잡미묘한 순간들을 마주하게 합니다

                  

 진행 일정

날짜

도서

세부 일정

 

6. 23 ~ 7. 18

《디어 라이프

 (앨리스 먼로문학동네, 2013)

함께 읽고 발췌와 단상 쓰기

별점 및 소감, 톡 토론


 진행 방식

- 주중 5일간 (~진행자가 정해준 일정 분량을 읽고, 간단한 발췌와 단상을 남깁니다. (단상은 선택)
- 주말엔 주중에 부족했던 독서를 합니다.
- 책을 읽은 후 일정에 따라 SNS 북 토론으로 생각을 나눕니다.
- 진행자는 회원들이 매일 진도에 맞춰 잘 따라올 수 있도록 독려합니다.
- 완독 이후 단톡방에서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비경쟁 독서토론을 진행합니다. (가급적 참여)
- 회원들 상호 간에 공감 토크로 소통하며 완독을 독려합니다.


 모임 안내

- 기간 : 위 일정 참조
- 시간 : FREE
- 장소 : 온라인 단체 카카오톡
- 인원 : 20명 내외
- 문의 : 이메일 (master@rws.kr) / 채널톡 (홈페이지 우측 하단 아이콘)


 모임 리더 :

김민숙

대학에서 문학과 심리학을 공부했다. 숭례문학당 독서토론 전문가 과정을 모두 수료했다. <단편소설 쓰기는 처음입니다 한 달에 한 편 소설 쓰기> 모임 등을 진행하며 외부 강의를 나간다. 월간 <법무사> 지에 서평을 연재(2024)했다. 지은 책으로 파워 J가 중년을 건너가는 법이 있고행복 더블 클릭, 이제야 쓸 수 있는 이야기등을 공저했다. 한때 사람들의 마음과 소통에 관심을 기울여 한국코치협회 코치 자격을 취득했다.


김의순

숭례문학당 독서토론 고급과정 수료. <책으로 통하는 아이들강사브런치 작가독서지도사문장 필사와 함께 읽기를 즐겨하고 있으며다수의 토론 모임에 진행 및 참여하고 있다현재 온라인 책모임을 운영하고 외부 강의를 나간다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삶에 대한 통찰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많은 사람과 나누고 싶다. 지은 책으로 오기로 한 사람들을 공저했다.


 다음 기수 일정

일정

도서

수상 연도

21

8. 4~ 8. 29

《추락

(J.M쿳시, 문학동네, 2024)

《엘리자베스 코스텔로 

(J.M쿳시, 창비, 2022)

2003

(남아프리카 공화)

22

9. 8~ 10. 3

《토니오 크뢰거 / 트리스탄 베네치아에서의 죽음

(토마스 만, 민음사, 1998)

1929년

(독일)


< 지난 기수 작가 / 모임 후기 >

  1기 : (튀르기예) 오르한 파묵 -> 후기 바로가기
  2기 : (일본) 가와바타 야스나리, 오에 겐자부로 -> 후기 바로가기
  3기 : (중국) 모옌-> 후기 바로가기
  4기 : (헝가리) 임레 케르테스 -> 후기 바로가기
  5기 : (폴란드) 올가 토카르추크 -> 후기 바로가기
  6기 : (노르웨이) 욘 포세 -> 후기 바로가기 
  7기 : (러시아)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후기 바로가기
  8기 : (포르투갈) 주제 사마라구-> 후기 바로가기
  9기 : (프랑스) 알베르 까뮈 -> 후기 바로가기
10기 : (프랑스) 아니 에르노 -> 후기 바로가기
11기 : (프랑스) 장 폴 사르트르 -> 후기 바로가기
12기 : (독일) 헤르만 헤세-> 후기 바로가기
13기 : (프랑스) 앙드레 지드 -> 후기 바로가기
14기 : (영국) 가즈오 이시구로 -> 후기 바로가기
15기 : (대한민국) 한강 -> 후기 바로가기
16기 : (독일) 하인리히 뵐 -> 후기 바로가기
17기 : (콜롬비아)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 후기 바로가기
18기 : (미국) 어니스트 헤밍웨이 -> 후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