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 수상자 작품 함께 읽기> 15기 ─ 한강 《작별하지 않는다》 / 《채식주의자》 참여 후기



뜻깊은 연말을 선물한 <노벨문학상 수상자 작품 함께 읽기>


한강작가와 함께 한 12월은 유난히 길고 추웠던거 같다. 눈이 많이 나와서 그런건지 계절도 겨울이고 내 마음도 겨울이고 책도 겨울이었다. 상을 받은 책들은 어려울 것이라 생각도 들고 나중에 한가할 때 읽어야지 하고 미래의 나한테 맡겨 놓았는데, 이번에는 피할 길이 없었다. 노벨방에서 한강 작가 책을 읽을수 있다니 이건 운명이고 신의 계시라는 생각이 들었다.

여느 노벨 작품보다 우리나라 작가가 쓴 글이라서 그런지 더 몰입이 되었다. 한국 사람이라 저 깊은 곳 어딘가에 같은 피가 흐르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힘들고 어려운 책인만큼 함께 한 우리 노벨방 열여섯 분의 선생님들과 함께 하고 감정을 나누는 것만으로도 위로를 받았다. 책으로 이렇게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고 감정을 다독일수 있다는 것이 너무 신기하다. 긴 터널을 벗어난듯하다. 일상이 감사하고 내가 만나는 사람들에게 조금 더 따뜻한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마음도 든다. 벌써 다음 달 책에서 받을 느낌이 궁금해진다. 따뜻한 한달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침을 좋은 글들로 열어주셔서 항상 감사하고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 김규


언젠가 꼭 참여해 보고 싶었던 '노벨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기 프로그램'15기 한강 작가의 작품으로 함께 할 수 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덕분에 어수선한 시국 속에서도 12월 연말이 뜻깊었습니다.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 애도를 종결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담은 <작별하지 않는다>와 일상속 직간접적 폭력의 폐해와 인간 내면의 욕망을 되돌아보게 한 고통스러운 소설 <채식주의자>를 두 분 진행자 샘들의 정성스러운 리드 덕분에 무사히 읽어낼 수 있었습니다. 깊은 단상 나눠주시는 여러 샘들의 글을 통해서도 많이 배웠습니다. '한강신드롬'으로 시작된 우리 사회 독서열기가 내년에도 쭈욱 지속되기를 바랍니다. 모두모두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항상 건강하세요.

— 신은


15기 한강 작품 함께 읽기에 참여하면서 나는 상당히 망설였다. 그전 1기부터 14기까지 선뜻 참여할 때와는 달리 걱정이 앞섰다. 한강의 작품을 읽는 것이 즐거운 일이 아니라 고통스러울 것이라는 예단 때문이았다. <채식주의자>로 맨부커상 수상 직후 멋 모르고 읽었다가 불쾌감과 뱀에 물린 듯한 독성에 영혼이 상처를 입었던 기억이 그런 예단에 선입견을 덧씌웠던 것 같다.

하지만 노벨상 수상 작품중 번역의 수고를 거치지 않은 원작을 처음으로 읽는다는 국민적 기쁨에 동참하는 것이 독서인의 예의이자 작은 성의라 생각하고 주저 끝에 참여하기로 했다
. 예상대로 무척 힘든 독서였다. 작품에 묘사된 끔찍한 이미지들이 너무 강렬하여 오랜 세월에 걸쳐 애써 체득한 마음의 평정이 깨지는 경험을 했다. 책은 '꽁꽁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 도끼'여야 한다는 카프카의 말을 실감했다.

— 오용

 

4주동안 따뜻하게 이끌어 주신 두 분 선생님께 너무 감사드리고요. 함께 읽기 동행해 주신 15기 동기님들께도 정말 감사드립니다!

— 류형


무척 뜻깊고 의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중간에 한국 문학 노벨문학상 소식도 잊지 못할것 같습니다. 두 분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 구영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 류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