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기> 3기 후기


"변화는 축적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축적은 루틴의 반복에서 시작된다."


유난히 뜨거운 여름을 지나 가을에 끝을 맺었군요. 지금도 책상앞에 놓여있는 두꺼운 개구리책보며 뿌듯한 마음이 듭니다. 김의순 선생님과 김민숙 선생님 그리고 노벨방 선생님들이 함께 했기에 가능했답니다. 모두모두 감사했습니다 ♡ 조금씩이나마 조금씩 한발한발 나가게 해준 용기를 갖게 해주셨습니다. 

p.435 최근 몇 년 동안 내가 얻은 결론이 하나 있는데, 급작스러운 일을 해결하는 최상의 방법은 조용히 앉아 변화를 지켜보고 물 흐르는 대로 흘러가는 거야.

<최*선님>


노벨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기 프로젝트 덕분에 또 한 권의 명작을 읽을 수 있었다. 어느새 3기 과제를 끝냈다. 하루하루 읽고, 공감이 가거나 인상적인 부분을 발췌하고, 나름대로 생각을 정리하여 단상을 쓰고, 도반들의 단상을 읽으며 생각을 확장하는 일이 루틴으로 일상의 일부된 것 같다. 변화는 축적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축적은 루틴의 반복에서 시작된다. 혼자서는 하기 힘든 일을 도반들과 호흡을 맞춰 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기러기는 혼자 날지 않는다. 안행(雁行)을 멋지게 향도해준 두 분 리더와 꾸준히 힘을 보태준 도반들께 감사하다.

<오*균님>


노벨문학상3기 함께 할 수 있어 좋았다. 이런저런 생각을 할 수 있었고 샘들의 사유를 읽으며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려 노력했다. 이 부분이 어렵다. 나의 정확한 입장과 생각을 해보는 것! 다양한 생각들을 읽다보면 내 사유도 깊어지겠지 편안하게 생각해보기로 했다. 매일매일 읽는 습관의 근육을 키우고 싶다. 점점 읽는 재미 생각의 확장의 재미있다. 4기도 기대된다.

<박*영님>


읽을 목록에 있던 '개구리'를 마침내 읽을 수 있어서 좋았다. 그것도 함께 읽을 수 있어서 더할나위 없이 좋았다. 소설 속의 인물들은 삶의 스승이다. 위대하다거나 모범적 인물이어서 그런 것만은 아니다. 이번 소설에서 '고모'라는 인물이 또 내게 삶의 태도에 대한 많은 생각을 해준 인물이어서 오래 기억될 것 같다. 완독의 뿌듯함을 함께 해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윤영효님>


매년 노벨상 수상식은 어찌 보면 자랑스럽게 생각했던 다이너마이트의 발명으로 인류에 큰 고통을 준 노벨의  끊임없이 이어지는 참회록 같네요. 노벨문학상은 문학작품의 형식적 아름다움보다는 인류가 이렇게 살아서 될까 하는 공동체적 고민을 잘 보여준 작가에게 돌아가는 듯해요. 우리나라 문학이 얼마나 아름다운데, 번역이 시원치 않아서 노벨문학상을 못 받는다는 말은 이제 하지 않으렵니다. 또 한 권의 ‘사람들의 어리석음을 까발리는 책’을 읽게 되어, 인류는 어쩌면 이렇게 어리석을까, 하는 고뇌가 한 겹 더 쌓여서 마음이 어수선하네요. 그래도 한 층 더 내 정신이 성장했다고 믿으며, 이런 기회를 가지게 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려요.

<김*백님> 

 

진도를 못 따라갈 때나 발췌나 단상쓰기가 살짝 부담스러울 때도 있었지만 여러분들이 올리신 단상을 읽는 재미가 쏠쏠했구요. 때론 여행 사진이나 작품관련 자료 올려주실 때 새로운 동기부여가 되기도 했어요. 제가 지금까지 노벨 3기까지 하면서 생각이 드는 거는 '나의 속도에 맞춰 즐기며 하자'였어요. 함께여서 좋았습니다. 그동안 나눈 발췌와 단상들 한 번 다시 읽어보는 시간을 가져야겠어요. 여기 계신 분들 모두 다음에도 같이 하면 좋겠네요.

<박*경님>


마무리 인사는 해야겠다고 마음먹었어요. 책을 아직 다 완독한 상태는 아니지만 여러분들의 단상을 잘 읽었습니다. 함께 읽기가 마무리 되어도 마저 다 읽어 잘 마무리 해야겠다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함께 읽기를 오래 전부터 하고 있는데, 최근 슬럼프가 왔나 생각합니다. 흐름을 잘 타지 못하고 있어요. 저의 이런 식의 함께 읽기를 다시 반추하고 둘러보는 기회도 되었습니다. 사진과 영상으로 공유해 주신 백두산의 좋은 에너지도 감사했고  성심으로 이끌어 준 두 분 샘도 고맙습니다. ^^

<배*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