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처럼 쓰고 싶지만, 쉽지 않습니다. 아무리 책을 읽어도 문장력은 그대로인데요. 어떻게 연습해야 좋을까요? 가장 쉽고, 재미있고, 실용적인 글쓰기 방법으로 <작가처럼 쓰기>를 제안 드립니다. <필사 문장력 특강>(북바이북)에 나오는 필사와 작문 기법을 기반으로 작가들의 명문장을 곱씹어 필사하고 작문까지 점프하는 문장력 향상 수업입니다. 제자리걸음인 문장력으로 고민하는 중이라면 바로 신청하세요.
이번에는 1969년부터 1994년까지 26년 동안, 200자 원고지 기준 4만여 장에 이르는 대하소설 <토지>를 집필한 박경리 작가입니다. <토지>는 일제 수탈 속에서 고통받던 민족의 삶을 형상화하면서 인간 보편성에 대한 탐구를 한 수작입니다.
작가 서머싯 몸은 글쓰기를 연습하는 방법으로 훌륭한 작가 작품을 베껴 쓰고 다시 쓰는 방법을 추천했습니다. 그는 멋진 문장을 볼 때마다 나중에 써먹을 요량으로 깊은 인상을 준 문구를 베끼기 시작했습니다. 작가의 문체를 배우기 위해 그 문장을 기억하려고 노력하고 다시 쓰며 연습했습니다. 우리도 이제 그렇게 꼭꼭 씹어 문장을 옮겨 적고, 분석하고, 작문으로 집짓기를 새로 해보겠습니다.
박경리는 “글을 쓰지 않는 내 삶의 터전은 아무 곳에도 없었다. 목숨이 있는 이상 나는 또 글을 쓸 수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토지 1부를 완성한 1973년 박경리는 서문에서 “내 자신에게 무엇을 언약할 것인가, 포기를 함으로써 좌절할 것인가, 저항함으로써 방어할 것인가, 도전함으로써 비약할 것인가, 다만 확실한 것은 보다 험난한 길이 남아 있으리라는 예감이다. 이 밤에 나는 예감을 응시하며 빗소리를 듣는다.”라고 심경을 남겼습니다. 우리는 토지 1부(4권) 문장을 보면서 내용을 파악하고, 의미를 해석하고, 가치를 평가합니다. 이후 독자가 어떻게 느끼도록 작가가 문장을 고안했는지를 생각하고, 예시문을 이용해서 나만의 소재로 글을 써봅니다. 박경리는 작가처럼 쓰기 9기에서 우리에게 모델이 되어 줄 작가입니다.
이 수업에서는 박경리의 토지(1부) 주요 문장을 곱씹고 필사합니다. 구조와 의미를 파악할 때까지 문장을 관찰합니다. 겉핥기로 책을 읽는 습관도 자연스레 정독으로 바뀌게 됩니다. 내용만 쫓아가기 급급했던 독서가 문장 관찰로 이어집니다. 글 보는 안목이 향상됩니다. 박경리의 문장 형식을 이용하되 내 글감을 가지고 글쓰기를 합니다.
- 박경리 토지(1부) 작품에 대한 단상을 나누고 강사가 올린 문장을 분석합니다.
- 수강자는 매회 운영자가 제공하는 4개 내외의 작문 문항 중 2개 이상을 선택해서 작문 후, 수업일 3일 전까지 메일로 제출합니다.
(작문 예시문은 온라인으로 미리 제공)
- 자신의 글감을 이용하되, 원문의 문장 개수, 각 문장 길이와 엇비슷하게 작문을 합니다.
- 수업 시간에 1인당 2개 내외의 작문을 발표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 서로의 작문을 칭찬하고, 강사의 피드백을 받습니다.
(잘못된 점을 지적하는 합평 수업이 아님을 참고하세요. 구체적으로 칭찬하고, 칭찬받는 특별한 수업입니다.)
- 가독성 좋은 문장을 쓰고 싶은 분
- 문장력을 향상시키고 싶은데 방법을 찾지 못하는 분
- 작가들의 문장 습관을 배우고, 익히고 싶은 분
- 박경리 토지(1부)의 문장을 정독하고 배우고 싶은 분
- 글쓰기의 즐거움을 느끼며 자기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싶은 분
- 글을 쓰면서 ‘나는 어떤 사람인가’라는 찾고 싶은 분
일정 | 내용 | 비고 |
1월 9일 | <토지>1부 1권(다산책방, 2023) - 명문장 내용 파악, 문맥 읽기, 단상 나누기 작문 발표와 피드백 | |
1월 23일 | <토지>1부 2권(다산책방, 2023) - 명문장 내용 파악, 문맥 읽기, 단상 나누기 작문 발표와 피드백 | |
2월 6일 | <토지>1부 3권(다산책방, 2023) - 명문장 내용 파악, 문맥 읽기, 단상 나누기 작문 발표와 피드백 | |
2월 20일 | <토지>1부 4권(다산책방, 2023) - 명문장 내용 파악, 문맥 읽기, 단상 나누기 작문 발표와 피드백 | |
일정 : 위 일정 참조
시간 : 매주(화) 오전 10시 30분 ~ 12시 (10분 휴식)
장소 : 온라인 (ZOOM)
※ 불가피하게 결석해야 할 때는 작문만 제출합니다.
인원 : 10명 내외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채널톡(우측하단 아이콘 클릭)
숭례문학당 독서토론 리더와 글쓰기 강사. 숙명여대 이학박사. 2020년 1월부터 ‘어린이 온라인 글쓰기’ 프로그램을 만들어 전국의 어린이에게 글쓰는 재미를 전파하고 있다. 학교, 도서관, 교육청, 한겨레교육에서 강의를 하거나 토론을 진행했다. 숭례문학당에서는 <교양북클럽>, <작가처럼쓰기>, <오수민의 어린이글쓰기>, <어린이독서토론>을 운영한다. 충북 CBS 라디오방송 시사포워드에서 〈만만한 글쓰기〉 코너의 작가, 국립중앙도서관 ‘국중상담소’ 책처방전 작가로 활동했다. 지은 책으로 『아이들이 마음으로 글을 씁니다』가 있으며, 『온라인 책 모임 잘하는 법』, 『그림책 모임 잘하는 법』,『일상 인문학 습관』을 공저했다.
1기 박완서 -> 바로 가기
3기 김애란 -> 바로 가기
4기 제인오스틴 -> 바로 가기
5기 장강명 -> 바로가기
6기 괴테 -> 바로가기
7기 은유 -> 바로가기
8기 도스토옙스키 ->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