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100대 도서 읽기ㆍ8기
― 《아르고호의 선원들》 & 《메이블 이야기》 ―
미국의 주요 일간지 뉴욕타임즈가 ‘21세기 100대 도서’를 발표했습니다. 2000년 1월 이후 출간된 작품 중 503명의 전문가가 선정한 100권과 독자가 뽑은 100권의 목록입니다. 전문가가 뽑은 100권 중 한국에 번역 출간된 작품이 79권이고, 여기에는 한국계 미국인 이민진 작가의 <파친코>와 2024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채식주의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총 200권 중 전문가와 독자가 공통적으로 좋아한 책은 39권입니다.
미국이라는 로컬에서 뽑은 작품이지만 한국에서 베스트셀러에 오른 작품도 많습니다. 가장 최근 베스트셀러인 클레어 키건의 《이처럼 사소한 것들》과 가지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 등이 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가 뽑은 1위 작품 《나의 눈부신 친구》 역시 한국독자들이 많이 읽고 있는 작품입니다.
‘21세기 100대 도서 읽기’에서는 한국에 번역 출간된 작품 중 한국 독자들의 호평을 받은 책은 물론 잘 알려지지는 않은 작품까지 포함해서 천천히 한 권 한 권씩 독파해보려고 합니다. 국내외 여러 기관에서 선정 발표하는 ‘세기의 100대 도서’나 ‘죽기 전에 꼭 읽어야 할 100권’ 등에는 고전이 주를 이루는 데 반해 이 조사에서 선정된 목록의 의미는 ‘현재성’에 있다고 하겠습니다. 현재를 통과하고 있는 문학, 예술, 사회문제를 다룬 이야기에 관심 있는 독자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 도서 소개
《아르고호의 선원들》 : 메기 넬슨(역.이예원), 플레이타임(2024)
전문가 순위 45위, 인문에세이
《아르고호의 선원들》은 쾌락과 돌봄, 퀴어와 가족, 래디컬과 순응의 관계를 흩뜨리며 끊임없이 나와 우리를 다시 빚는 ‘되어 감’의 과정을 담고 있다. 문화적 이분법과 명명의 한계를 조심스럽게 피해 가며 파트너와 아이를 비롯한 타자들과의 마주침을, 그들이 가져다준 갖가지 쾌락을, 서로를 보듬는 보통의 헌신을 열렬하고도 진실하게 재현한다. 일반적인 회고록이나 자서전과 달리 삶의 내밀한 사건들을 (인용을 경유해) 이론적, 비평적 성찰과 긴밀하게 엮었다. 작품과 삶, 공과 사의 구분을 무너뜨린 오랜 페미니즘 전통을 잇는 한편 ‘자기 이론’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생명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하기도 했다.
(인터넷서점 알라딘이 뽑은 <21세기 최고의 책>에서 국내 필자 금정연 추천)
《메이블 이야기》 : 헬렌 맥도널드(역.공경희), 판미동(2015)
전문가 순위 40위, 에세이
"인간과 자연이 어우러진 매혹적인 이야기"
논픽션계의 아카데미상이라 불리는 새뮤얼존슨상과 장르 불문하고 최고의 책에 수여하는 영국의 권위 있는 문학상 코스타상까지 거머쥔 이 책은 2015 아마존 '올해의 책'에 선정되었을 뿐 아니라, 각종 매체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인상적인 표지를 보면 금세 매의 이야기라는 것은 알아차릴 수 있다. 한데, 이 책은 매의 이야기를 넘어 매를 통해 상실의 아픔을 치유해 가는 과정을 아름다운 문장으로 기록한 회고록이다.
상실에 대처하는 최고의 길은 따로 없다. 하지만 나 자신을 파괴하지 않고 상실의 상처를 극복하는 길은, 나처럼 여리고, 나처럼 불완전하며, 나처럼 사랑이 고픈 ‘다른 존재’를 사랑하는 것뿐이다. (정여울.문학평론가)
묘사는 생생하고 사건은 박력이 넘치며 곳곳에 깔린 슬픔은 짙다. 품격있는 자연문학이다. (김탁환.소설가)
■ 진행 일정
도 서 | 토론 날짜 |
《아르고호의 선원들》 | 6/13(금) 저녁 8:30~10:00 |
《메이블 이야기》 | 6/27(금) 저녁 8:30~10:00 |
■ 진행 방식
- 참가자는 정해진 책을 완독 후 토론에 참가합니다.
- 진행자는 논제를 토론 전날 단톡방에 올립니다.
- 정해진 시간에 독서토론모임을 갖습니다.(ZOOM)
■ 모임 안내
- 기간 : 위 일정 참조
- 시간 : 오후 8시 30분 ~10시
- 장소 : 온라인 (Zoom)
- 인원 : 10명 내외
-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 채널톡(우측 하단 아이콘)
■ 진행자 – 주진희
숭례문학당 독서토론 리더. 철학과 인류학에 관심이 있고 주 1회 세미나를 열고 있다. 숭례문학당에서 <한 주제 집중 독서>와 <함께 읽기>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쉽게 이해되지 않는 책을 동료들과 함께 읽고 얘기 나누기를 좋아한다. 에세이 《쉰, 아직도 나를 설득해야 할 일들이 남아있었다》와 공저 《오기로 한 사람들》을 냈다.
■ 지난 모임
7기 | 2025년 5월 | 전문가순위 4위 스베틀라나 알렉세예비치(역.김하은) 《붉은 인간의 최후》 1부 이야기장수(2024) |
독자순위 43위, 전문가순위 36위 스베틀라나 알렉세예비치(역.김하은) 《붉은 인간의 최후》 2부 이야기장수(2024) |
6기 | 2025년 4월 | 전문가순위 4위 에드워드 P.존스(역.이승학) 《알려진 세계》 섬과달(2024) |
독자순위 43위, 전문가순위 36위 타네히시 코츠(역.오숙은) 《세상과 나 사이》 열린책들(2016) |
5기 | 2025년 3월 | 독자순위 92위 올가 토카르추크(역.최성은)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 민음사(2020) |
독자순위 87위 버나딘 에바리스토(역.하윤숙) 『소녀, 여자, 다른 사람들』 비채(2020) |
4기 | 2025년 2월 | 독자순위 59위, 전문가순위 43위 클레어 키건(역.홍한별) 《이처럼 사소한 것들》 다산책방(2023) |
독자순위 19. 전문가순위 28위 이언 매큐언(역.한정아) 《속죄》 문학동네(2023) |
3기 | 2024년 11월 | 전문가순위 16위 레이철 커스크(역.김현우) 《윤곽》 한길사(2020) |
독자순위 1위, 전문가순위 63위 바바라 킹솔버(역.강동혁) 《내 이름은 데몬 코퍼헤드》 은행나무(2024) |
2기 | 2024년 10월 | 독자 순위 36위, 전문가 순위 12위 조앤 디디온(역.홍한별) 《상실》 책읽는 수요일(2023) |
독자 순위 8위, 전문가 순위 1위 엘레나 페란테(역.김지우) 《나의 눈부신 친구》 한길사(2016) |
1기 | 2024년 9월 | 독자순위 24위, 전문가 순위 98위 앤 패짓(역.김근희) 《벨칸토》 문학동네 |
전문가 순위 8위 W. G. 제발트(역.안미현) 《아우스터리츠》 을유문화사 |
5기 후기 -> (바로가기)
7기 후기 ->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