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 편집자와 함께 내 글 퇴고하기ㆍ3기

출판 편집자와 함께 내 글 퇴고하기ㆍ3


 수강생의 글 피드백 수업 




한 권의 책이 나오기까지 책 속의 글은 얼마나 많이 다듬어질까요
?

단행본의 경우 통상 원고를
3번 다듬습니다. 3, 그러니까 3번의 교정교열을 거친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더 정확히 말하자면, ‘최소한’ 3교입니다. 몇 번이 더 늘어날지는 만이 알 것입니다.

이렇게 ‘
이 다듬는 원고는 인간’인 저자가 보내온 것입니다. 그렇다면 ‘신’에게 원고를 보내기 전에 저자는 몇 번이나 원고를 다듬어야 할까요? 적어도 3번은 넘어야 하지 않을까요? ‘3번은 다듬는데 하물며 인간인데요.

(
스티븐 킹의 유명한 말, “글쓰기는 인간의 일이고 편집은 신의 일이다로 말장난을 해보았습니다.)

이 강좌에서는
퇴고하는 법을 함께 공부하려고 합니다. 퇴고는 초고 상태의 원고를 다듬는 일입니다. 어렵사리 원고를 완성했는데, 뭔가 부족해 보인 경우가 있었을 겁니다. 내 글이 부족한 걸 알아도, 부족한 뭔지알기는 쉽지 않습니다. 부족한 뭔가를 찾아내어 다듬는 것은 처음부터 쓰기보다 더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원고를 처음 쓸 때의
 “팁”이 있듯이, 원고를 퇴고할 때도 “팁”이 있습니다. 


편집자와 함께 내 글을 더 멋지게 다듬어 보고 싶은 분들께 이 강좌를 추천합니다
.


■ 추천 대상

내 글의 특징을 파악하고 싶으신 분

내 글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받고 싶으신 분

남이 내 글을 꼼꼼히 읽어주기를 바라는 분

남의 글을 통해 배우고 싶으신 분


■ 진행 방식

강좌는 1기당 4회차로 진행합니다. 매주 1회씩 4주간 진행합니다.

수강생은 매주 강좌 2일 전까지 과제 1편을 제출합니다(첫 주 제외, 단톡방에 업로드)

  수강생은 총 3편의 과제를 제출하게 됩니다.

과제는 자유로운 소재의 글(시는 제외), 분량은 편당 2,000자 내외입니다.

  (200자 원고지 10, hwp의 경우 11ptA4 2장 내외)

강좌는 수강생의 글과 해당 글에 대한 강사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진행됩니다.

매 강좌 시 수강생의 글을 강사와 수강생이 구두로 피드백합니다.

강사는 매 강좌 이후에 수강생에게 서면으로 피드백합니다. (첫 주 제외, 이메일로 전달)

강사의 서면 피드백은 수강생당 3 제공되며, 총평과 개별 문장에 대한 코멘트 등입니다.

수강생은 피드백을 받은 후 자신의 글을 퇴고하여 다시 제출합니다. (이메일로 제출)

  (퇴고한 글에 대한 피드백은 없지만, 강사가 읽습니다.)

강사가 카카오톡 단톡방을 개설하여 과제를 독려하고 소통합니다.


■ 세부 내용

회차

강좌 내용

비고

1

퇴고에 들어가기 전에


- 매 강좌 수강생 전원의 글을 다룹니다.

퇴고의 기술 강의

2

틀 다듬기

과제 글 합평 및 강사 구두 피드백

3

문장 다듬기 1

과제 글 합평 및 강사 구두 피드백

4

문장 다듬기 2

과제 글 합평 및 강사 구두 피드백


■ 진행자 소개 — 유지희 강사

1인 출판사 테오리아 대표.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문학나눔, 세종도서 등에 선정된 도서를 포함해 50종 이상의 단행본을 편집하고 발행했습니다.


■ 후기 ->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