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작가로 다시 읽는 한국문학 100년사> 1기 (후반부)
― 나혜석부터 한강까지 ―
“여성 작가는 오랫동안 중심에서 동떨어진 변방의 무리였다.”
— 이화어문학회 편, 《시대, 작가, 젠더》, 태학사
“아주 오랫동안 여성이 자신의 삶을, 자신의 목소리로 기록하는 일은 그리 환영받지 못한 작업이었다.
그렇기에 한국문학사에서 그 흔적을 찾는 일 또한 쉽지는 않았다.
여성의 삶이 더는 ‘희생’이나 ‘타자’의 범주로 밀려나지 않고, 이 세상을 구성하는 다양한 삶의 하나로 ‘환대’받기를 바란다.”
— 이화어문학회 편, 《한국 여성작가 연대기》, 태학사
이광수, 윤동주, 현진건, 김소월, 이상, 김동인, 황순원, 김승옥, 서정주..... 학교에서 배웠던 한국문학을 떠올려보면 생각나는 작가는 모두 남성들이었습니다. 2025년 현재에는 여성 작가들의 이름이 셀 수 없이 많이 호명됩니다. 한국 근현대문학의 시초부터 존재했으나 남성에 비해 덜 알려졌던 여성 작가들을 위주로 한국문학 100년을 다시 읽어보는 시간을 가집니다.
김명순, 김일엽, 나혜석으로 시작되는 근대 대표 여성 작가부터 강경애, 지하련, 박경리, 전혜린, 박완서, 양귀자, 은희경, 신경숙, 정이현, 황정은, 한강까지 한국문학 100년의 흐름을 조망하고 시대에 공명하는 작가들의 작품 세계를 살펴봅니다. 이어 작가들의 대표작을 함께 읽고 토론합니다. 격동의 한국 현대사를 배경으로 한 우리 작가들의 작품을 읽으며 지금의 ‘나’와 같은 고민을 하는 인물들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 추천 대상
- 한국 현대문학사를 개괄하고 싶은 분
- 학창시절 배운 한국문학 작품 외에 어떤 작품이 있는지 궁금한 분
- 한국 문학의 작가와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원하는 분
- 독서토론보다 문학 강의에 더 관심이 있는 분
■ 진행 방법
- 2강부터, 강의 전 제시한 작품을 미리 읽어옵니다.
- 강의와 토론을 연계하여 진행됩니다.
- 1시간 30분 강의 + 30분 작품에 대한 토론(발언을 원하는 분 위주로 진행)
- ZOOM으로 진행됩니다. 강의 후 일주일 간 ZOOM 다시보기 링크가 제공됩니다.
■ 커리큘럼
회차 | 일시 | 프로그램 주제 | 교육내용 | 진행방식 |
7 | 7/23(수) 밤8시 ~10시 | 1970년대, 개발주의 시대의 문학 | ◊1970년대의 사회상과 문학 작품의 관계 ◊1970년대 여성 작가들 - 박완서, 오정희, 강은교에 대하여 | 강의 및 토론 |
8 | 7/30(수) 밤8시 ~10시 | 1980년대, 폭발하는 여성 문학의 시대 | ◊1980년대의 사회상과 문학 작품의 관계 ◊1980년대 여성 작가들 - 고정희, 최승자, 양귀자에 대하여 | 강의 및 토론 |
9 | 8/6(수) 밤8시 ~10시 | 1990년대, 문학 전면에 등장한 여성 작가들 | ◊1990년대의 사회상과 문학 작품의 관계 ◊1990년대 여성 작가들 - 신경숙, 공지영, 은희경에 대하여 | 강의 및 토론 |
10 | 8/13(수) 밤8시 ~10시 | 2000년대 밀레니엄 시대의 문학 | ◊2000년대의 사회상과 문학 작품의 관계 ◊2000년대 여성 작가들 - 김애란, 정이현, 한강에 대하여 | 강의 및 토론 |
11 | 8/20(수) 밤8시 ~10시 | 201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문학 | ◊2010년대의 사회상과 문학 작품의 관계 ◊2010년대 여성 작가들 - 한강, 황정은, 조해진, 김금희에 대하여 | 강의 및 토론 |
12 | 8/27(수) 밤8시 ~10시 | 아직 도래하지 않은, 한국문학 | 바로 여기, 지금의 문학, 그리고 그 너머의 문학에 대하여 / 더 읽고 싶은 시대, 작가, 작품에 대하여 | 토론 및 토의 |
<전반부>
1강 – 이광수부터 김훈까지 나란히 존재한 여성 작가들
2강 – 1920년대, 한국 근현대 문학의 시작
3강 – 1930년대, 암울한 식민지 시대의 문학
4강 – 1940년대, 식민 지배의 말기와 해방 시대의 문학
5강 – 1950년대, 전쟁과 생존 이후의 문학
6강 – 1960년대, 4.19 혁명 이후의 문학
■ 참고도서
《황석영의 한국 명단편 101》, 《한국현대문학사》, 《한국 여성문학 선집》 등.
■ 모임 안내
- 일시 : 2025.07.23~08.27
- 시간 : 매주 수요일 저녁 8시~10시
- 장소 : 온라인(ZOOM)
- 인원 : 20명 내외
-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채널톡(홈페이지 우측 하단 아이콘)
■ 진행자 — 김선화
- 숭례문학당 강사, 한양대학교 강사
- 숭례문학당 독서토론 리더, 심화과정, 글쓰기 코칭 수료
- 지자체, 연수원, 공공도서관, 서울시민대학 등에서 강의
- 책 읽는 것을 좋아하고 사람들과 이야기 나누는 것을 좋아합니다. 2015년부터 독서모임 운영, 글쓰기에 대해 강의하고 있습니다. 2017년부터 <30일 매일 읽기 습관>모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함께 쓴 책으로 《글쓰기로 나를 찾다》, 《책으로 통하는 아이들》, 《일상 인문학 습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