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퍼실리테이션 – 100세 인생 잘 사는 법
— 린다 그래튼의 《100세 인생》 함께 읽기 1기 —
■ 진행 방법
구분 | 진행 내용 | 진행 시간 | 진행 기법 |
오프닝 | - 자기소개하기 – 지금 내 머릿속은? - 강사소개/진행순서 소개 | 15분 | 마인드웨더 |
책 내용 이해하기 | - 21세기 주요 변화 이해 - 100세 인생에서 달라지는 것들은? | 50분 | JIGSAW 학습 |
생각/경험 나누기 | - 의미 있고 충만한 100세 인생을 위해 필요한 것들은? | 15분 | 브레인스토밍 빙고게임 |
생각/경험 나누기 | - 100세 인생을 잘 살기 위한 7계명 만들기 | 50분 | Y차트 회전목마 |
적용하기 | - 나의 무형자산(생산자산-활력자산-변형자산) 점검 | 10분 | A4 양식 |
마무리 | Wrap-up - 오늘 꼭 기억하고 싶은 One thing은? - 내 삶에서 Reframe하고 싶은 것은? | 10분 | 서클 대화 |
※ 《100세 인생》 책을 미리 읽지 않고도 참여 가능합니다. 과정 중에 참여자들이 책의 핵심내용을 쉽게 파악하도록 촉진합니다.
―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사용하여 학습자 스스로 참여를 통해서 결론을 유도해 나가는 방법이 오래 기억에 남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학습자료(1)~(5)를 공유하면서 성인학습과 참여 학습의 진수를 느끼는 시간들이었습니다.
― 성공적 과도기를 만드는 방법이 자기이해, 역동적이고 다양한 네트워크, 능동적 경험들이라는 것이고, 위의 3가지를 열심히 하고 있었는데 잘 살고 있구나! 하고 안심되는 부분이었습니다.
― Learn, unlearn, relearn, 그리고 Taker에서 Giver로 인식이 전환되었다!!
― (70세, 80세는 어떨까? 가 아니라) 역으로 20대의 나는 지금의 나에게 뭐라고 할까?, 100세의 나는 지금의 나에게? 라는 질문에서부터 시작해 보고 싶습니다.
― 17년간 한 회사를 다니다가 2월 말일자로 퇴사를 하여, rigid한 내 경력의 frame을 좀 더 flexible하게 reframe하고 싶다.
― 자산이나 여가에 대한 개념을 좀 더 구체화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저 스스로에게 100세 인생을 위한 준비와 계획에 대한 질문을 좀 더 구체적으로 던질 수 있게 되었음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