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미경의 4주 식습관> 26기


<권미경의 4주 식습관> 26기


어느 날 아이가 학교에서 건강검진표를 받아왔습니다. ‘경도비만이라는 네 글자가 두 눈에 들어옵니다. 초등학교 3학년인 아이는 몸무게 40킬로를 넘어 비만의 경계선에 서 있었습니다. 햄과 소시지를 비롯한 인스턴트 식품을 거의 사용하지 않으면서 식탁을 꾸려왔는데 문제가 무엇일까 고민했습니다. 건강에 관한 여러 가지 책들을 읽어보고 그동안 상식이라고 믿어왔던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강재헌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체중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칼로리나 지방 섭취량이 아니라 탄수화물 섭취량이라고 말합니다. 그는 체내 인슐린 수치가 상승하면서 체지방이 축적되는데 인슐린 수치를 높이는 영양소는 지방이 아니라 탄수화물이기 때문이다. 지난 30년간 한국인의 당류 섭취량이 급증하면서 성인의 비만 유병률은 26퍼센트에서 38퍼센트로 증가했다고 밝힙니다.

건강에 관한 정보는 차고 넘쳐서 무엇이 옳은지 판단하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적용할 처방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누군가에게는 채식이 또 다른 이에게는 육식이 최선일 수도 있으니까요. 건강에 관한 책을 함께 읽고 공부하며 하루의 식단을 기록합니다. 식단일기를 작성하고 하루의 식단을 평가하고 고민해봅니다. 그 과정에서 자신에게 맞는 식단을 찾아가는 것이 최선의 목표입니다. 혼자하면 일주일을 넘기기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함께 하면 서로에게 의지해 지속할 수 있습니다.


<완전배출>의 저자 조승우 한약사는 말합니다.

저는 도대체 왜 인간은 뚱뚱해지고 질병에 걸리는 것일까?’에 의문을 가졌습니다. 많은 책을 읽었고 그 저자들이 주장하는 대로 하나씩 실천해보았습니다. 고기를 마음껏 먹으라면 그렇게 했고 방탄 커피(커피에 버터를 타서 먹는)를 마시라면 그렇게 했습니다. 그러나 살도 빠지지 않았고 질병도 심해질 뿐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우연히 호모사피엔스는 무엇을 먹도록 설계된 동물인가?’라는 명제에 대한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중략) 결국 아하, 살아 있는 인간은 살아 있는 식물을 먹어야 하는 동물이구나!’라는 깨달음이 왔습니다. 죽음 음식(공장 음식)을 버리고 산 음식(채소와 과일과 무첨가 주스)을 먹으면 비만과 질병에서 해방된다는 진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모임 도서

<완전배출>(조승우, 사이몬북스, 2023)


■ 모임 대상

 - 건강에 관심이 많으신 분
 - 음식을 조절하여 체중관리를 하고자 하시는 분
 - 건강에 관한 책을 함께 읽으실 분
 - 무병장수를 꿈꾸시는 분

 

 참여 방법

 - 한 달에 한 권 건강에 관한 책을 읽습니다.
 - 카톡에 자신이 발견한 발췌를 공유합니다.
 - 하루의 식단을 앱을 이용해 기록하거나 사진을 찍어 공유합니다.
 - 그날의 공동미션과 자신만의 미션을 수행합니다.
 - 식단일기를 작성합니다.
 - 본인이 알고 있는 레시피를 공유합니다
 - 서로 응원하고 격려합니다.

 

 

 <식단기록 예시>

 모임 안내

 - 기간 : 위 일정 참조 (읽기는 평일, 식단 기록은 매일
 - 장소 : 온라인 카톡방 
 - 인원 : 15명 내외
 -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채널톡(하단우측 아이콘)

 

  진행자 - 권미경

큰아이의 체중조절을 위해 세 아이들과 줄넘기를 1년간 진행하며 운동하는 삶의 고달픔을 절감하였습니다. 운동은 늘 풀리지 않는 수학 문제 같다고 생각하며 살다가 운동을 하지 못한다면 식단조절이라도 하고자 간헐적 단식을 시작했고 3년간 유지하고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 운동과 식단조절을 병행하며 꾸준히 하기 위해 건강에 관한 책을 읽으며 자신을 각성시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