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역사 생활> 시즌 2

<슬기로운 역사 생활> 시즌 2


나는 이렇게 믿는다. 한 국가와 국민이 성공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자신의 뿌리에서 시작해 계속해서 유기적인 성장을 해야 한다고
.
그리고 이것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거를 기억해야 한다. 역사를 몰라서는 안 된다.”
— 알폰스 무하

 

역사는 지워지거나 옅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과거의 인물과 오늘날의 나를 연결해주는 고리입니다. 그 고리가 단단할수록 미래를 향한 우리의 시선도 뚜렷해집니다.


생생한 이야기로 만나는 역사는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슬기로운 역사 생활>은 그간 30여 권이 넘는 역사 동화를 통해 우리의 역사를 만났습니다. 맥락에서 보는 역사로 분절되거나 딱딱한 암기식의 역사에서 벗어난 시간이죠. 이야기가 숨 쉬는 역사는 때론 심장을 쪼그라들게도하고 때론 두 주먹 불끈 쥐게도 합니다. 역사는 살아있는 이야기입니다. 최근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을 보며 역사의식의 중요성 다시금 깨닫게 됩니다.


숫자와 암기가 아닌 민중의 이야기 담긴 역사.

흐름 가운데 머무는 역사의 사건들 자세히 들여다봅니다.

책과 토론이 함께하는 시간입니다.


 세부 일정

구분

일자

목록

내용

1

620

오월의 달리기

김해원 저/홍정선 그림
푸른숲주니어


평범한 아이, 명수의 단란한 일상을 촘촘하게 그려낸 동화

5.18 민주화 운동 사건의 배경부터 그 의의까지 살펴보는 시간 오월의 달리기

 

진행자가 준비한 자료로 당시 시대 상황 알아보기

논제로 토론하기

관련 주제로 글쓰기

2

627

무명천 할머니

정란희 글/양상용 그림 위즈덤하우스


제주에서 일어난 아픈 우리 현대사의 한 장면

폭도로 몰려 죽임을 당한 제주 4·3 사건의 한복판. 턱에 총을 맞아 죽음 앞까지 갔다가 살아난 진아영 할머니가 들려주는 이야기 무명천 할머니

 

당시 시대 상황 알아보기

진행자가 준비한 논제로 토론하기

관련 주제로 글쓰기

3

74

몽실 언니

권정생 글/이철수 그림
창비


6.25전쟁 이후 가난으로 얼룩진 세상

하지만 부모를 잃고 동생들을 돌보면서도 끝내 좌절하지 않고 꿋꿋이 삶을 개척한 몽실의 이야기 몽실 언니

 

당시 시대 상황 알아보기

진행자가 준비한 논제로 토론하기

관련 주제로 글쓰기

4

711

온양이

선안나/ 김영만
샘터사

한국 전쟁 당시 흥남철수가 이루어졌던 195012월 중순, 고향을 떠나 피란길에 오른 아홉 살 소년 명호네 가족 이야기 온양이

 

당시 시대 상황 알아보기

진행자가 준비한 논제로 토론하기

관련 주제로 글쓰기


모임 효과

- 고난과 역경을 이겨내는 주인공들의 감동적 이야기를 읽으며 우리 역사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 작품의 시대적 배경을 유추하고, 조사하고, 안내 받으면서 역사에 대한 관심을 확장시킬 수 있다.

- 역사 동화를 통해 다양한 어휘를 만날 수 있다.

(중요한 역사 용어는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사실을 암기하기보다 다양한 역사적 관계 속에서 파악하면 개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 참여 대상

- 초등 고학년 (4~6학년)


진행 방식

ZOOM으로 진행합니다.

- 토론 전까지 책을 읽어 옵니다.(책을 읽지 않아도 수업 참여 가능합니다)

- 진행자가 준비한 역사적 배경과 숨은 이야기를 들여다봅니다.

- 시대적 배경을 유추해보며 당시 백성들의 시선으로 역사를 바라봅니다.

- 진행자가 준비한 논제로 그 시대의 주인공이 되어 의견을 말해봅니다.


모임 안내

- 일시 : 2025620/27/ 74/11(금요일 저녁 8~ 930)
- 장소 : ZOOM (온라인)
- 추천 : 초등 4~6학년
-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채널톡(우측 하단 아이콘 클릭)


진행자 — 오숙희

교육대학원에서 독서교육 전공. 숭례문학당 독서토론 리더, 심화과정 수료. 스피치지도사 1, 독서 지도사 1. 예술교육리더과정 수료. 도서관, 초중고, 교육기관 등 공공기관에서 독서토론을 진행. 책 속에서 뒹구는 삶을 꿈꾸며, 언제고 책장만 넘기면 만날 수 있는 세기의 대가들을 찾아 문을 두드리는 읽는 인간으로 살아가고 있다. <온라인 어린이 글쓰기>, 청소년과 성인 대상 <연설문 필사>, 초등 대상 <슬기로운 역사생활>, 성인 대상 <30일 낭독 습관> 운영.

그림을 읽고 마음을 쓰다》 《힘이 되는 그림책이 있습니다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