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글쓰기 지도자 과정
― 초등 3~6학년을 위한 글쓰기 지도자 양성 과정 ―
“아이들에게 ‘잘 쓰는 기술’이 아니라 ‘쓰고 싶은 마음’을 자극해주고 싶었습니다. 맞춤법 공부, 문장 구성하기, 글쓰기 전략이 왜 그렇게 중요한가요? 글쓰기를 이미 싫어하게 된 다음에는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해보니까 글쓰기가 어렵지 않다는 걸 깨닫고, 자기 마음과 생각을 표현하는 데에 재미를 느낀다면, 아이들은 글쓰기를 자연스럽게 친구로 여깁니다. 한번 친한 친구를 만들어두면 결코 헤어지지 않죠. 평생 친구가 되는 겁니다.” ― 《아이들이 마음으로 글을 씁니다》(오수민, 초록비책공방) 중에서
아이들은 글을 써보기도 전에 두려움을 알아버립니다. 첫 만남에서 대화를 나눠보면 글쓰기가 즐거웠다는 아이들은 거의 없어요. 아이들로부터 많이 들었던 고민입니다.
“맞춤법이 틀렸다고 혼낼까 봐 심장이 쿵쿵 뛰어요.”
“국어 시간이 제일 싫어요. 시를 쓰는 시간은 정말 힘들어요”
“선생님이 글쓰기를 하라는데 뭘 써야 할지 모르겠어요. 아무 생각이 나지 않아요.”
교사들은 “아이들이 글쓰기를 싫어해요”라고 말하는데요. 실제로 고등학교에 글쓰기 수업을 하러 가면 한 줄 쓰기도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뭔가 쓰려면 막연하고 두렵다고 이야기하는데요. 처음부터 그렇지는 않았겠지요? 맞춤법이나 띄어쓰기, 글을 잘 써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아이들이 글쓰기를 포기합니다. 자기 마음과 생각을 표현하는 즐거움을 경험해보기도 전에 글쓰기를 싫어하게 되는 거죠. 글쓰기에서 한 번 멀어진 아이들은 다시 돌아오기 어렵습니다.
초등학생들이 글쓰기의 두려움을 깨고 ‘재미있게 쓰는 법’을 알도록 전하는 글쓰기 지도자 과정입니다.
책 《아이들이 마음으로 글을 씁니다》의 작가 오수민이 직접 강의하는 수업입니다. 본 강좌에서는 글쓰기 동기부여 방법, 아이들의 성향별 글쓰기 지도 접근법, 쓰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하는 글감을 만드는 법을 배웁니다. 실습 과정에서는 글감으로 글을 쓰고, 피드백을 하고, 온라인 글쓰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프로그램 계획안을 작성합니다. 또한 오랜 시간 어린이들에게 글쓰기를 지도해온 오수민 강사의 글쓰기 프로그램 진행 노하우를 익힐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마음으로 글을 쓰도록 이끌고 싶은 교사나 학부모님, 글쓰기 지도사를 꿈꾸는 분들, 모여볼까요?
■ 관련 도서 ㅡ 《아이들이 마음으로 글을 씁니다》
■ 수강 대상
- 초등학생 글쓰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싶은 분
- 초등 자녀의 글쓰기 지도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
- 초등학교나 현장에서 아이들의 독서와 글쓰기 수업을 지도하고 계신 분
- 아이들 글을 피드백하는 법을 알고 싶은 분
- 쓰고 싶은 마음이 드는 글감을 만드는 법을 배우고 싶은 분
- 초등 글쓰기 프로그램 운영법을 익히고 싶은 분
■ 모임 효과
- 아이들이 즐겁게 참여하는 글쓰기 지도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 감정표현, 의견 말하기, 설득하기, 상상력 키우기, 독후감 쓰기 등 다양한 글감을 작성하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 온라인/오프라인 글쓰기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 독서토론과 글쓰기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 아이들과 글쓰기 지도자가 함께 성장할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램 운영 노하우를 익힐 수 있습니다.
■ 진행 방식
- 글쓰기 지도 이론 및 운영법을 강의합니다.
-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실습을 하고,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 수강생은 글쓰기 글감을 제출하고, 글쓰기 지도 진행 실습을 합니다. 강사는 피드백을 진행하면서 보완합니다.
- 풍부한 현장 경험을 통해 강사가 익힌 글쓰기 프로그램 진행 노하우를 나눕니다.
■ 커리큘럼
일정 | 주제 | 수업 내용 | 비고(과제) |
1강 | 어린이 글쓰기 수업 입문 수업 | - 글쓰기 프로그램 운영 원칙 - 글쓰기 프로그램 지도자의 마음가짐 - 글쓰기의 두려움과 즐거움(이해하기) - 글쓰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싶은 이유 쓰기(글쓰기 프로그램의 운영 목적 세우기) - 글쓰기 프로그램 운영 사례 | |
2강 | 아이들 성향별 글쓰기 지도법 프로그램 운영법(온라인) | - 글쓰기에 대한 동기부여 - 천천히 쓰는 아이들(느리게 쓰는 아이들 지도법) - 소심한 아이들(소심한 아이들 격려법) - 마음이 삐걱이는 아이들(마음이 혼란스러운 아이들 코칭법) - 소통하는 아이들(아이들과 소통하는 법) - 프로그램 운영법 소개(온라인) - 프로그램 운영 노하우 | |
3강 | 다양한 글감 작성법과 피드백하는 법 프로그램 운영법(오프라인) | - 마음을 표현하는 글감 - 감정을 터트리는 글감 - 자기 의견을 말하는 글감 - 상상력을 키우는 글감 - 독후감 쓰기 글감 - 글쓰기 실습(현장) - 프로그램 운영법 소개(오프라인) | - 3강 종료 후 온라인 카페에 글감 업로드 |
4강 | 글쓰기 프로그램 운영 실습(1) | - 카페에 글감 올리기 - 수강생 글쓰기 실습 - 글감 코칭 - 피드백 사례 및 시연(강사) | - 온라인 카페에 글감 올리기/글쓰기/피드백 쓰기 - 프로그램 기획안(도서목록+글감) 제출 |
5강 | 글쓰기 프로그램 운영 실습(2) | - 카페에 글감 올리기 - 카페 글쓰기 실습 - 글감 코칭 - 수강생 글쓰기 피드백 실습/코칭 - 글쓰기 프로그램 기획안 발표 1 | - 온라인 카페에 글감 올리기/글쓰기/피드백 쓰기 - 프로그램 기획안(도서목록+글감) 제출 |
6강 | 글쓰기 프로그램 운영 실습(3) | - 카페 글감 올리기 - 카페 글쓰기 실습 - 글감 코칭 - 수강생 글쓰기 피드백 실습/코칭 - 글쓰기 프로그램 기획안 발표 2 | - 온라인 카페에 글감 올리기/글쓰기/피드백 쓰기 - 프로그램 기획안(도서목록+글감) 제출 |
* 5월 6일은 공휴일이라 휴강합니다.
■ 모임 안내
- 일정 : 상단 참조 / 매주 월요일
- 시간 : 월 저녁 7시 ~ 9시 30분 (매회 2시간 30분, 6주)
- 장소 : 온라인 (ZOOM)
-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 채널톡(홈페이지 우측 하단 아이콘)
- 운영 : 단체 카톡방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교류합니다.
■ 진행 강사 : 오수민
2020년 1월부터 ‘어린이 온라인 글쓰기’ 프로그램을 만들어 전국의 어린이에게 글쓰는 재미를 전파하고 있다. 숭례문학당에서는 <오수민의 어린이 글쓰기>, <어린이 독서토론>, <작가처럼 쓰기>, <교양 북클럽>을 운영한다. 학교, 도서관, 교육청, 한겨레교육센터에서 글쓰기 강의를 하거나 독서토론을 진행했다. 숙명여대 의류학과 이학박사로 경북대, 숙명여대, 한국방송통신대에서 강의를 하다 숭례문학당을 통해 독서, 글쓰기의 즐거움에 빠졌다. 충북CBS라디오방송 시사포워드에서〈만만한 글쓰기〉 코너 작가, 국립중앙도서관 ‘국중상담소’ 책처방전 작가로 활동했다. 지은 책으로 《아이들이 마음으로 글을 씁니다》가 있으며 공저로《온라인 책 모임 잘하는 법》, 《그림책 모임 잘하는 법》, 《일상 인문학 습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