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학당 온라인 저자 특강 《질문하는 독서의 힘》

숭례문학당 온라인 저자 특강

질문하는 독서의 힘

— 토론을 위한 논제 만들기 




 GPT, 인공지능의 시대는 질문 넣는 기술만 늘린다는 우려를 낳습니다. 자기 스스로 사고하고 질문하는 능력인 사고력은 떨어지고, 스스로 읽고 쓰고 토론할 기회는 차단되고 남는 것은 검색과 알고리즘 뿐이라는 비판도 일어납니다. 

질문하는 독서의 힘(북바이북, 2020)의 저자 김민영, 권선영, 윤석윤, 장정윤이 한 자리에 모여 왜 지금 질문하는 독서의 힘이 필요한지 강의하는 온라인 특강을 마련했습니다. 자기 생각, 스스로의 사유와 문제의식이 사라져가는 지금, 반드시 필요한 책이며 특강일 것입니다. 네 명의 공저자는 각각의 집필 내용을 중심으로 강의합니다. 강의 종료 후엔 독자와의 대화가 마련됩니다. 궁금한 점, 질문을 품고 있다 꺼내주세요.

질문하는 독서로 읽기 능력뿐 아니라

생각하는 능력도 키우자!

 

독서를 통해 반드시 뭔가를 얻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때로는 생각 없이 재밌게 읽은 책 한 권이 머릿속에 더 오래 남기도 합니다. 독서야 안 해도 그만이지만, 그래도 해야겠다면 조금 더 즐겁게 읽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고 싶다면, 더 많은 사람과 생각을 나누고 싶다면, 사회의 부조리를 짚어보고 싶다면, 독서만큼 좋은 매개체도 없을 것입니다.

책을 읽으며 자신이 만든 질문을 사람들과 나누기 위해서는 독서토론 논제를 만들어야 합니 다. 이름이 거창해 독서 토론 논제지, 질문을 간략하게 정리한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독서토론 논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책을 읽고 토론할 거리를 정리한 뒤, 책의 발췌문을 토대로 논제문을 써야 합니다. 독서하는 힘은 물론, 생각하는 힘, 질문하는 힘, 정리하는 힘, 글 쓰는 힘, 심지어 말하는 힘까지 필요한 셈입니다. 질문하는 독서의 힘에 담긴 친절한 설명과 논제 예시 자료를 살피다 보면, 이러한 힘들은 물론 세상과 소통하는 힘까지 세진 자신을 발견할 것입니다.


특강 구성

1.질문하는 독서를 위한 마음가짐 (김민영)

2.홀로 책 읽는 이를 위한 질문 독서 (권선영)

3.독서 모임을 위한 논제 독서 (윤석윤)

4.독서 교육을 위한 논제 독서 (장정윤)


특강 안내

- 일정 : 4.25()
- 시간 : 
저녁 8
- 장소 : 온라인(Zoom)
(*
신청자에겐 특강 2-3일 전 알림이 갈 예정입니다. 줌 링크를 보내드리고 사전 질문도 받을 예정입니다.)
- 참가비 : 4만 원
-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 채널톡(홈페이지 우측 하단 아이콘)


■ 문의 : bookworm@rws.kr


참가하는 분들께

특강을 들으시는 동안 비디오를 켜주시기 바랍니다. 비대면 특강이지만, 마주하고 의사소통하고 질문하는 시간으로 함께 만들어가면 좋겠습니다. (마이크가 필수는 아닙니다. 마이크 사용이 어렵거나 부담스러운 분은 줌 채팅으로 질문이 가능합니다. 물론, 마이크를 켜고 바로 질문하실 수도 있습니다.)


■ 강사 소개 — 김민영/권선영/윤석윤/장정윤

김민영

함께 읽고 쓰고 운동한다. 집필하고 강의한다. 쓴 책으로는 첫 문장의 두려움을 없애라가 있고, 함께 쓴 책으로는 이젠, 함께 읽기다, 서평 글쓰기 특강, 필사 문장력 특강등이 있다.

권선영

실천하는 삶을 살기 위해 읽고 토론한다. 반려견과 매일 걸으며 실천의 동력을 얻는다. 함께 쓴 책으로 생각 정리 공부법이 있다.

윤석윤

읽고 토론하고 글쓰기를 즐기며 강의를 사랑한다. 함께 쓴 책으로는 이젠, 함께 읽기다, 은퇴자의 공부법, 책으로 다시 살다, 당신은 가고 나는 여기, 아빠, 행복해?, 서평집 쓸모없이도 충분히 아름답길이 있다.

장정윤

매일 새벽 읽고 쓴다. 필사하고 낭독하고 토론한다. 운동과 피아노, 책으로 하는 모든 활동을 즐긴다. 강의하고 배우는 삶을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