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화 필사 2기 <원청 : 잃어버린 도시>


위화 필사 2기

<원청 : 잃어버린 도시 >

  

필사를 할 때는 마침표 하나도 똑같이 베껴 써야 합니다구두점 하나띄어쓰기 어느 것도 소홀히 해서는 안 돼요바른 정자로 또박또박 곱씹으며 베껴 써야 합니다글을 잘 쓰고 싶은 사람에게 필사 연습은 아주 중요합니다.” - 소설가 조정래


한 달 동안 중국 작가 위화의 명문장을 필사하고 단상을 쓰는 기록 모임입니다. 잔잔한 물결과 같다가도, 거센 바람이 되어 가슴에 머뭅니다. “인민이 단결할 때 그들의 목소리는 빛보다 더 멀리 전달되고 그들 몸의 에너지가 그들의 목소리보다 더 멀리 전달되는 것이다.(p.39)” 같은 문장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위화 필사 2기 모임에서는 위화의 최신작 <원청 : 잃어버린 도시>(2022. 푸른숲)에서 나만의 명문장을 발췌하고 손필사를 하려 합니다. 손필사가 어려운 분은 컴퓨터로 필사를 하셔도 됩니다.


이 북쪽 출신 농민은 땅에 대해 말로는 표현하기 힘든, 아이가 엄마 품에 매달리는 것과 비슷한 절절함을 가지고 있었다. 12년 전 회오리바람이 지나간 뒤 딸을 잃어버렸다가 되찾았을 때 그는 떠오르는 아침 햇살 속에서 처음 완무당, 물과 땅이 어우러진 그 넓은 전답을 보았다. 뿌리째 뽑힌 나무가 사방에 흩어져 있고 벼가 짓밟힌 잡초처럼 여기저기 쓰러져 있으며, 망가진 배의 판자 조각, 수북한 띠, 굵은 나무와 뼈대만 남은 지붕이 수면 위로 떠내려가고 있었음에도, 린샹푸는 그 엉망으로 망가진 풍경 속에서 원래의 풍요로운 완무당을 볼 수 있었다. 노부인의 얼굴에서 젊은 시절의 미모를 발견하는 것처럼 말이다. (p.147)” <원청 : 잃어버린 도시>중에서 

 

<원청 : 잃어버린 도시>는 중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작가 위화가 8년 만에 내놓은 신작입니다. 늘 절망스러운 상황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꿋꿋이 삶을 살아나가는 인간 군상을 그려내온 위화는 이번 책에서도 끝없는 여정 위에 선 인간의 숭고한 발자취를 그려내었습니다. 청나라가 저물고 중화민국이 시작하는 대격변기의 포화 속에서 미지의 도시 원청을 찾아 헤매는 린샹푸의 파란만장한 삶이 펼쳐집니다.



  



  참여 대상

 - 위화의 작품을 좋아하는 분
 - 위화라는 이름은 들어본 적 있지만 처음으로 읽어보고 싶은 분
 - 필사를 통해 작가의 문장을 자신에게 스며들게 하고 싶은 분
 - 글을 잘 쓰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되는 분
 - 다양한 문체를 익히고 싶은 분

 

 진행 방법

 - 매일 아침 카톡 그룹창에 올라오는 위화의 명문장을 필사하거나, 본인이 고른 명문장을 발췌해서 필사하고 단상을 씁니다.
 - 그날 못 쓴 필사와 단상은 다음 필사 전까지 올립니다.
 - 평일 월, , 10회 진행하고 11회차(24일)에는 줌에서 단상을 나누고 필사한 부분을 낭독합니다.

 

■ 모임 안내

 - 기간 : 위 일정 참조 
 - 장소 : 카카오톡 단톡방, 줌 
 - 인원 : 20명 내외
 -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 전화 02-318-2032

 

 모임 진행  최선화

교학상장(敎學相長)을 좋아하는 숭례문학당 강사이자, 아이들과 책을 통해서 이야기를 나눈 지 20년이 되어가는 책선생님이다. 학당에 오기 전 도서관, 학교, 문화센터, 교습소 등에서 성인과 학생들에게 책 만들기, NIE 학습, 독서토론 수업을 진행했다. 학당에서 리더, 심화, 고급과정을 수료했고, <루이스 세풀베다 전작 읽기>, <서경식 전작 읽기>, <조지오웰 전작읽기> 모임 등에 참여했다. 학당에서 <포토테라피 사진놀이>를 진행했으며 <식물의 재발견>, <50인의 그림책 작가>, <신문칼럼 요약하기> 모임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