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평이론은 텍스트 해석의 근거가 되는 이론과 개념을 일컫는 말로 일정 수준 이상의 사전 이해를 필요로 하는 용어와 개념으로 이루어져 쉽게 접근하기 힘들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비평이론에 대한 이러한 인식과 우려를 접할 때마다 우리가 간과하는 있는 것들을 떠올리게 됩니다. 우리는 이미 다양한 경로를 통해 우리 안에 많은 이론들을 내면화하고 있고 단지 스스로 깨닫지 못할 뿐 이미 그 이론들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고유의 이론적이고 사변적인 특성들로 인해 오히려 개인의 감상적인 독서가 방해 받지 않을까하는 우려도 있습니다. 비평이론의 다양한 관점과 깊이가 만든 다양한 감정적 체험이 오히려 독서를 더욱 풍부하게 할 수 있다는 말로 대신합니다. 용어에 대한 확인과 이해를 통해 우리 안에 존재하고 있는 그 이론들을 만날 수 있고 인류가 만들어내고 공유하는 많은 것들을 더 깊게 바라보며 우리 스스로 규명할 수 있습니다. 자막이라는 1인치 장벽만 뛰어넘으면 더 많은 것을 만날 수 있다는 영화계 발언처럼 이론 이해라는 장벽만 뛰어넘으면 더욱 확장된 세계를 만나게 됩니다.
“일단 비평이론에 익숙해지고 나면 문학을 감상하는 능력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대된다는 점이다”
수업을 통해 다양한 이론들에 대해 얘기 나누는 동안 자연스럽게 이론에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문학을 이해하는 이론의 도구들을 더 많이 갖게 된다는 것은 문화라는 이름의 영화, 그림, 음악, 연극, 건축물 등을 더 넓고 깊게 만날 수 있다는 말과 같습니다. 다양한 이론들이 때로는 적대적으로 때로는 의존적으로 관계하는 것들을 보며 세상을 이해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 얘기 나누려 합니다.
로이스 타이슨의 <비평이론의 모든 것>은 이론적인 설명과 함께 각각의 이론이 적용되는 시점도 제안합니다. 로이스 타이슨의 제안을 기준으로 <위대한 개츠비> 분석을 해나가는 동안 우리는 동일한 작품, 동일한 이론일지라도 우리만의 다양한 분석과 해석 또한 가능하다는 것도 배우려 합니다. 강의와 분석을 통해 만나게 되는 이론과 해석이 이끌어줄 여러분 자신과의 만남을 응원하고 또한 그러한 여러분과의 만남 자체도 기대합니다.
이론 목록
1강 - 정신분석 비평
2강 - 마르크스주의 비평
3강 - 여성주의 비평
4강 - 신비평
5강 - 독자반응 비평
6강 - 구조주의 비평
7강 - 해체 비평
8강 - 신역사주의와 문화 비평
9강 - 퀴어 비평
10강 - 인종주의 비평
11강 - 탈식민주의 비평
추천 대상
- 문학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시도 해보고 싶으신 분
- 비평 이론을 접해 보고 싶으신 분
-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싶으신 분
진행 방법
- 비평이론의 입문과정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강의로 진행됩니다.
- 강의로 이론을 접한 후 일주일동안 개인별 분석을 시도합니다.
- 일주일 후 각 그룹의 멤버들과 각자의 분석을 나눕니다.
- 주교재 : 비평이론의 모든 것 - Lois Tyson
- 부교재 : 위대한 개츠비 - F. Scott Fitzgerald
커리큘럼
일 자 | 수업 내용 | 비고 |
11월 12일(토) | 오리엔테이션 / 정신분석 비평 강의 | |
11월 19일(토) | 정신분석 분석 / 마르크스주의 비평 강의 | |
11월 26일(토) | 마르크스주의 분석 / 여성주의 비평 강의 | |
12월 03일(토) | 여성주의 분석 / 신비평 강의 | |
12월 10일(토) | 신비평 분석 / 독자반응 비평 강의 | |
12월 17일(토) | 독자반응 분석 / 구조주의 비평 강의 | |
모임 안내
일정 : 위 일정표 참조
시간 : 매주 토요일 오전 10 ~ 12시
장소 : 숭례문학당 8층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채널톡(하단우측 아이콘)
진행자 - 박수현
외환위기에 유학을 중도 포기하고 돌아와 학원을 운영했습니다. 가르치는 일에는 꽤 소질이 있었지만 사회와 창조적으로 낯가림했던 캐릭터라 책을 붙들고 세월을 보냈습니다. 집에 책이 쌓여가는 만큼 세상과 단절되어 갈 무렵 다시 책을 붙들고 세상으로 나왔습니다. 책을 통해 인격을 도야했고 정보의 대중화에 공감합니다. 책을 통해 만나게 된 분들과 함께 단단하게 서는 법을 나눌 수 있음에 의미를 둡니다. 숭례문학당에서 서양철학사를 강의 중입니다.
강좌 개설 -> 취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