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래 《아리랑》 함께 읽기 : 1부 아, 한반도


조정래 아리랑함께 읽기


13권 아, 한반도

 


대한민국이 길을 잃을 때 우리는 조정래를 읽는다!”

 

일제 침략기의 역사적 사건들을 씨줄 삼고 폭넓은 사료의 취합과 세밀한 현장 묘사를 날줄 삼아 짜낸 이 거대한 현대사의 직조물은 이야기꾼으로서의 소설가가 또한 시대정신을 짊어지고 가는 소크라테스적 등에임을 우리 모두에게 보여주고 있다. 진형준 / 문학평론가

1943년 전남 승주군 선암사에서 태어난 조정래 작가는 1970현대문학으로 등단, 작품활동을 시작하면서 50여 년 동안 문학에만 헌신해왔습니다. 그는 문학은 인간의 인간다운 삶을 위해 인간에게 기여해야 한다는 문학관을 갖고 암울한 시대 속에서 고뇌하는 인간 군상과 사회의 부조리를 작품으로 형상화해냈습니다.

대하소설 아리랑은 일제 침략기부터 해방기까지 한민족의 끈질긴 생존과 투쟁, 이민사를 다룬 민족의 대서사시입니다. 식민지 시대를 깊은 역사 인식으로 탐구한 이 작품은 전북 김제 출신의 인물들이 군산, 하와이, 동경, 만주, 블라디보스톡 등지로 옮겨 다니며 40여 년의 세월을 살아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일제 강점시대의 생활상뿐만 아니라 일제의 폭압에 맞선 우리 민족의 저항과 투쟁과 승리의 역사를 부각한 역작입니다.

오래전 읽었던 분들도, 새롭게 도전하고 싶은 분들도 서로 독려하며 완독까지 함께 간다면 분명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진행 일정

구분

일정

도서

내용

1

9.1 ~ 9.26

아리랑 1, 2, 3

함께 읽고 발췌와 단상 쓰기

(단상은 선택)

2

10.1 ~ 10.31

아리랑 4, 5, 6

함께 읽고 발췌와 단상 쓰기

(단상은 선택)

3

11.3 ~ 11.28

아리랑 7, 8, 9

함께 읽고 발췌와 단상 쓰기

(단상은 선택)

4

12.1 ~ 12.26

아리랑 10, 11, 12

함께 읽고 발췌와 단상 쓰기

(단상은 선택)

*책은 출판사가 서로 달라도 됩니다.

 

 진행 방식
주중 평일(~진행자가 정해준 분량을 읽고, 간단한 발췌와 단상을 남깁니다. (단상은 선택)
- 주말엔 주중에 부족했던 독서를 합니다.
진행자는 회원들이 매일 진도에 맞춰 잘 따라올 수 있도록 독려합니다.
회원들 상호 간에 공감 토크로 소통하며 완독을 독려합니다.
- 완독 후에는 줌 모임을 갖습니다.

 

 모임 안내

기간 : 위 일정 참조
시간 : FREE
장소 : 온라인 단체 카카오톡
인원 : 15명 내외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 채널톡 (우측하단 아이콘)

 

 모임 리더 : 김의순

숭례문학당 독서토론 리더 전과정 수료. <책으로 통하는 아이들강사였고 문장 필사와 함께 읽기를 즐겨하고 있다현재 온라인 책모임을 운영하고 인천시청, 이천시립도서관, 율곡연수원, 등 공공기관과 옥천고, 용인홍천고, 인천산곡고 등으로 외부 강의를 나간다학당에서는 <노벨문학상 수상자 작품 함께 읽기> <한국 여성문학 선집>을 진행 중이다. 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삶에 대한 통찰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더 많은 사람과 나누고 싶다. 지은 책으로 오기로 한 사람들을 공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