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력 향상을 위한 <명문장 필사와 리라이팅>
“필사의 마지막 목적은 남의 글을 그대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나의 글을 쓰기 위한 훈련입니다.
당장 한 줄의 글도 쓰지 못한다고 해도
책상 앞에 앉아 있는 그 즐거움을 누릴 준비가 되었다면
그걸로 충분합니다.”(p.87)
- 조경국, 『필사의 기초』, 유유
글을 잘 쓰고 싶지만 글쓰기가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명문장에 기대어 글 쓰는 법을 안내하고 함께 연구하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필사는 글자 그대로 ‘글을 베껴 쓰는 것’입니다. 리라이팅은 ‘원래의 글을 다시 쓰기, 고쳐 쓰기’입니다. <명문장 필사와 리라이팅>은 매일 명문장으로 평가받는 문장을 필사하고, 그것이 왜 명문장인지 분석한 다음, 예시한 명문장 형식에 기대어 나만의 글로 다시 쓰는 모임입니다. 『필사 문장력 특강』, 『청소년을 위한 필사 가이드』에 소개된 필사 작문 기법을 적용하여 글쓰기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매일 아침 코치가 제시하는 명문장을 깊이 읽고 베껴 쓰며 명문장인 이유를 찾습니다. 이 과정에서 잘 쓴 글을 알아보는 안목을 기를 수 있습니다. 명문장을 읽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관찰력이 향상됩니다. 그런 후 나의 생각을 글감 삼아 명문장의 틀을 빌려 리라이팅하면 글쓰기를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명문장의 단어와 문장 구조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어휘력과 문장력이 향상됩니다.
■ 참고 도서
『필사 문장력 특강』, 『청소년을 위한 필사 가이드』
■ 추천 대상
- 글을 잘 쓰고 싶지만 글쓰기가 두려운 초보자
- 지금보다 글쓰기 실력이 향상되길 원하는 중급자
- 다양한 장르의 글을 읽고 싶은 분
- 설렁설렁 읽는 태도를 벗어나 정독하는 습관을 기르고 싶은 분
- 읽기에서 더 나아가 나만의 글을 쓰고 싶은 분
■ 진행 방법
- 프로그램 시작 전 일요일 밤 8시, ZOOM 예비모임을 갖습니다.(약 한 시간 소요, 리라이팅 예시 설명)
- 주 4일, 코치가 제공하는 명문장을 꼼꼼히 읽고 필사합니다. (맞춤법, 띄어쓰기 실력 향상을 원하는 분께는 원고지 필사를 권합니다.)
- 명문장의 장점을 하나 이상 찾아 적습니다.
- 명문장의 형식을 뼈대로 삼고 자신의 생각을 글감 삼아 리라이팅 합니다.
- 매주 금요일에는 주중에 수행하지 못한 필사와 리라이팅을 보충합니다. 주말엔 재충전합니다.
- 프로그램 마침 토요일 밤 8시, ZOOM 마무리모임을 갖습니다. (약 두 시간 소요, 그간 작성한 글에 대한 칭찬 피드백 나누기)
- ZOOM모임 참석은 선택입니다.
■ 모임 일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주 | 밤8시 | 소설가의 글 | 학자의 글 | 시인의 글 | 기자의 글 | 주중에 못한 필사와 리라이팅 수행 | |||
2주 | 소설가의 글 | 학자의 글 | 시인의 글 | 기자의 글 | 주중에 못한 필사와 리라이팅 수행 | ||||
3주 | 소설가의 글 | 학자의 글 | 시인의 글 | 기자의 글 | 주중에 못한 필사와 리라이팅 수행 | ||||
4주 | 소설가의 글 | 학자의 글 | 시인의 글 | 기자의 글 | 주중에 못한 필사와 리라이팅 수행 | 밤8시 |
■ 모임 안내
- 일시 : 위 일정 참조
- 장소 : 온라인
- 인원 : 15명 내외
-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채널톡(홈페이지 하단 아이콘),
■ 진행자 : 김선화
숭례문학당 강사, 한양대학교 강사. 숭례문학당 독서토론 리더, 심화과정, 글쓰기 코칭 수료. 지자체, 연수원, 공공도서관, 서울시민대학 등에서 강의하고 있습니다. 책 읽는 것을 좋아하고 사람들과 이야기 나누는 것을 좋아합니다. 2015년부터 독서모임 운영, 글쓰기에 대해 강의하고 있습니다. 2017년부터 <30일 매일 읽기 습관>모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함께 쓴 책으로 『글쓰기로 나를 찾다』, 『책으로 통하는 아이들』,『일상 입문학 습관』 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