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과학 읽기> 모임 (초5~6)

어린이 <과학 읽기> 모임 (초5~6)

- 우리에게 필요한 또 하나의 독서, SRS(Science Reading Strategy) -

 

문자(Text)는 인류가 지식과 정보, 기술을 전수하여 환경에 적응하고 지속 가능한 삶을 가능하게 한 원천입니다. 따라서 문자 읽기 능력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능력에 속합니다.


과학에 관한 글 읽기는 삶의 원리를 발견하는 창조적 과정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글 읽기는 단순한 문자 읽기가 아닙니다. 전달받은 지식과 정보를 활용해 더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만드는 창조적 과정입니다. 이 창조적 과정의 중심에 과학 읽기(Science Reading)가 있습니다. 과학(Science)은 그리스어 ‘Scientica체계화된 지식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체계화된 지식의 대상이 자연입니다. 자연은 우리 삶의 전부입니다. 과학을 안다는 것, 그건 곧 우리 삶의 원리를 안다는 얘깁니다.


통찰력과 메타인지 능력을 기르는, 새로운 과학 읽기 전략 

과학은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다만, 생소할 뿐입니다. 잘 정돈된 단계적 적응 과정만 익히면 됩니다. 수많은 정보가 순간적으로 지나가는 디지털 시대. 모든 것을 읽을 수 없고 읽을 필요도 없습니다. 필요한 것을 천천히, 꾸준히, 이미 알고 있는 것들과 연결해 읽고 들으며, 쓰고 말하는 새로운 과학 읽기 전략SRS 과정을 통해 통찰력과 메타인지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과학 읽기 전략 SRS 4단계 

- 1단계 : 질문(실험)하며 읽기 ask(experiment) and read

- 2단계 : 배경지식 듣기 Listen to background information

- 3단계 : 이해하며 쓰기 understand and write

- 4단계 : 쓴 것으로 소통하기 communicate by writing

 

진행 도서 : 유레카! 세상을 발칵 뒤집은 놀라운 발견과 발명 이야기

                                                                    

 

과학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이자 시간의 역사입니다. 계절의 변화, 기후 변화, 질병, 기술과 의학의 발달 등 거의 모든 것이 과학과 함께합니다.

이 책을 함께 읽으며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세상의 과학 원리를 질문하고, 이해하고, 알게 된 내용을 쓰고, 좀 더 알고 싶은 것들에 대해 소통하며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과학의 창으로 세상을 보는 놀라운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추천 대상

 - 과학에 흥미를 느끼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 세상의 원리를 알고 싶은 호기심 가득한 어린이
 - 자녀와 과학을 주제로 대화를 나누고 싶은 부모님


모임 효과

 - 책을 읽고 궁금한 것을 질문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 자기의 생각을 글과 그림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자기 생각을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말할 수 있습니다.


진행 방법 : SRS 4단계

 - 질문하며 읽기 : 정해진 분량을 읽고 궁금한 것을 밴드에 작성합니다.
 - 배경지식 듣기 : 배경지식을 듣고 관련 내용을 다양한 정보와 함께 이해합니다.
 - 이해하며 쓰기 :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합니다.
 - 쓴 것으로 소통하기 :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더 알고 싶은 점을 찾아봅니다.


질문하며 읽기

배경지식 듣기

이해하며 쓰기

쓴 것으로 소통하기





정해진 분량을 읽고,

질문을 밴드에 작성

관련 내용을 다양한

정보와 함께 이해하기

알게 된 내용

정리하기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더 알고 싶은 점 찾기



진행 일정

 - 기간 : 위 일정 참조
 - 시간 : 매주 토요일 오전 10:00~11:30
 - 장소 : 온라인 
 - 인원 : 초등학교 5~6학년 대상 10명 내외
 -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채널톡(하단 우측 아이콘)


회차별 커리큘럼

일정

주제

내용


1(10/8)

오리엔테이션/출발점 확인

<유레카의 순간들>

SRS란 무엇인가?

과학사의 중요성

아르키메데스의 유레카의 비밀 과학으로 해결하기


2(10/15)

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을 보다.

<안토니에 반 레벤후크>

작은 세계를 본다는 것의 의미

현미경의 원리

로버트 훅의 현미경과 비교하기

폴드스코프 활용하기


3(10/22)

무시무시한 병을 물리치다.

<루이 파스퇴르>

곰팡이에서 페니실린을 찾아내다.

<알렉산더 플레밍>

세균과 바이러스

백신의 역사와 종류

감염병 시대의 슬기로운 생활


4(10/29)

생물을 분류하고 이름을 붙이다.

<카를 린네>

생물의 진화론을 펼치다.

<찰스 다윈>

생명 분류의 역사적 의미

멘델의 유전법칙

생명 진화의 원리


5(11/5)

우리의 태양계를 밝히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우주 공간을 들여다보다.

<갈릴레오 갈릴레이>

프톨레마이오스의 우주

천동설 VS 지동설

힘과 운동의 역사와 원리

최초의 과학자


6(11/12)

우주 만물의 법칙을 찾아내다.

<아이작 뉴턴>

만유인력의 비밀

운동 3법칙

수학으로 설명한 하늘의 움직임


7(11/19)

시간과 공간을 뒤흔들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빅뱅으로 우주의 시작을 설명하다.

<조르주 르메트르>

빛나는 은하계를 발견하다.

<에드윈 허블>

간단히 알아보는 상대성 원리

뉴턴의 오류

중력렌즈

한눈에 알아보는 빅뱅이론

팽창하는 우주


8(11/26)

전기와 자기의 힘을 밝히다.

<마이클 패러데이>

SRS 활용하기

전기의 역사와 원리

전기의 현재와 미래

스스로 하는 SRS



진행자 : 김종일 강사

사회생활을 하다 늦은 나이에 교육대학교에 입학하여 초등학교 교사가 되었다. 과학, 수학, 발명, 창의성 활동에 참여하면서 똑같은 교실에서 똑같은 교과서를 펴고 똑같은 답을 골라야 하는 현실이 비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들어 대안학교 융합인재혁신학교를 열었다. NLP(신경언어프로그래밍) 마스터 프랙티셔너, 융합교육, 뇌교육, 과학교육, 발명교육에 큰 관심을 갖고 오늘 공부가 내일 쓸모가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를 즐겁게 하고 있다.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두 가지 과학 이야기(북랩/2016)를 냈다
현재 경기초등학교 미래교육연구소장으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