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비평 읽기 30기, 3F


영화비평 읽기

 

위대한 비평가는 자신의 비평적 분석을 토대로 다른 이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 발터 벤야민

우리는 아직 비평가를 잘 알지 못합니다
비평가는 어떤 사람들일까요비평의 목적은 무엇일까요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누구나 비평을 할 수 있는 시대하지만 동시에 비평에 대한 목마름도 함께 느껴야만 하는 시대지금 이때우리는 비평을 읽으며 비평과 비평가에 관해 다시 얘기해보려 합니다.


20세기 최고의 문예 비평가인 발터 벤야민은 비평가의 임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남깁니다비평가는 자신의 의견을 제공함으로써 우리가 어떤 의견을 지닐 수 있도록 돕는 사람들입니다비평가는 작품 분석을 통해 자신이 드러내고자 하는 세계를 우리에게 제시하는 사람들입니다그리고 비평가는 작품과 관객이 세계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지녀야 하는지 제안하는 사람들입니다결국비평가를 읽는 일은 영화를 새롭게 읽는 일이며 세계를 새롭게 읽는 일과도 같습니다.

영화비평 읽기에서는 영화 읽기와 비평 읽기를 함께 합니다비평 이해와 더불어 비평 분석 및 비평에 대한 비평을 해보려 합니다그럼으로써 영화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스스로 제시해보기도 하면서비평가의 의견을 통해 영화를 다시 들여다보는 기회를 얻고자 합니다관객영화비평이 함께 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30기 탐구영화

영화비평읽기’ 30기에서는 공간 정치학에 관한 영화와 비평을 다룰 예정입니다. <스파이의 아내>를 통해서는 믿음의 공간이 어떻게 작동하고 무너지는지, <프로메테우스>에서는 인조인간의 형상이 어떠한 공간을 만들어내는지 이야기 나눌 것입니다. <콜럼버스>는 영화 그 자체의 건축적 요소가 어떻게 의미화될 수 있는지 살피게 하고, <게임의 규칙>은 영화사 초창기 고전을 통해 감독들이 영화의 건축적 가능성을 어떻게 감지했는지 들여다보게 할 것입니다.  



 
 


 

진행 내용

구분

영화

주요 비평 텍스트

비 고

5.21

<스파이의 아내>(2021)

믿음의 공간

추가 비평 텍스트

5.28

<프로메테우스>(2012)

영화 속 AI

6.4

<콜럼버스>(2018)

영화의 건축적 성질

6.11

<게임의 규칙>(1939)

공간의 정치학

- 주요 비평 텍스트 이외에 다른 글도 함께 볼 예정입니다
- 현장에서 비평글을 나눠드릴 예정입니다.


수업 후기

영화비평읽기 25: https://blog.naver.com/stainboy81/222506529805
영화비평읽기 26: https://blog.naver.com/stainboy81/222562230745
영화비평읽기 27: https://blog.naver.com/stainboy81/222618865148
영화비평읽기 28: https://blog.naver.com/stainboy81/222665273280


   

진행 방식

- 참여 방법 : 선정 영화 미리 보고 오기 (*비평 읽기는 현장에서 진행합니다)
- 진행 시간 : 2시간
- 진행 방식 :
  ① 토론 리더의 진행에 따라 자유롭게 토론
  ② 영화에 관해 토론한 후, 비평을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누기
  ③ 비평 분석과 비평에 대한 비평하기 

 

강좌 안내

일시 : 위 일정 참조
장소 숭례문학당 3층
인원 : 12명 (결제순 마감)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전화 02-318-2032

1회 신청 안내 : 
영화비평읽기에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한 기수에 다루는 네 편의 영화 중 하나를 골라 참석 가능합니다.
                     2회 이상 신청은 불가합니다. 신청 요청은 전화나 메일로 해 주시면 별도로 계좌를 안내해 드립니다. 
                     1회 참석 비용은 3만원 입니다.


진행자 소개 한창욱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 전문사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 출강

한겨레문화센터 <영화토크강의 및 진행  
숭례문학당 <영화토론입문>, <영화비평읽기>, <영화 리뷰 첫걸음강의 및 진행 
숭례문학당 <영화리뷰쓰기강의 및 모임 진행 

2017 부산영화평론가협회 영화비평공모 최우수상 수상 (번역으로 통과하는 세계 봉준호 감독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