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제 공작소 28기


<
논제 공작소> 28기

 
- 논제 발제 습관 기르기 -


독서토론 과정을 공부했지만, 논제 만들기는 여전히 어렵나요? 꾸준히 논제를 만들고 피드백 받고 싶다면 이 모임과 함께 하세요. 함께 명품 논제를 만들어가는 논제 공작소입니다. 모임은 30일간 온라인으로 진행합니다. 논제 태아, 논제 왕초보부터 논제 중급, 고급자 누구나 참여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책 소개는 덤으로 받는 선물입니다.


논제란 ‘질문’입니다. 밑줄 치고 공감만 했다면, 이젠 스스로 만든 질문을 던져보세요. 유치한 질문부터 시작해 여러 의견이 이어지는 우수 논제로 성장합니다. ‘나만 이렇게 본 건가?’ ‘다른 사람은 어떻게 생각할까?’ ‘내 질문이 괜찮은가?’ ‘사람들이 내 질문에 관심이 있을까?’ 이런 고민을 함께 나누고 발전시킵니다.


논제란 ‘사고력’입니다. 스스로 생각하는 힘입니다. 다른 사람이 쓴 책에 수긍만 하고 덮으면 휘발되고, 남지 않습니다. 스스로 생각하고, 길어 올린 질문을 만들고 기록하는 습관을 쌓으면 사고력이 향상됩니다.

 

추천 대상

- 숭례문학당 또는 도서관, 교육청에서 비경쟁 독서토론 특강이나 연수, 수업에 참여해 보신 분
- 어린이, 청소년, 성인과 비경쟁 독서토론을 진행해 보고 싶으신 분
- 다양한 책을 토론하며 깊이 읽어보고 싶은 분

모임 효과

- 한 책에 대한 여러 논제를 공유하며 시야를 넓히고, 집단 지성의 힘을 체감한다.
- 모임이 없을 땐 논제를 만들지 않아, 질문하는 습관이 줄어들고 논제 실력이 떨어지는 매너리즘에서 벗어날 수 있다.
- 내 논제에 대한 여러 의견을 들어 논제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꾸준히 논제 만드는 습관을 기른다.
- 참여자들과 함께 책의 주제와 논제에 대해 같이 고민함으로써 책을 좀 더 깊이 있게 읽어내고 논제 찾는 안목을 높인다.
- 진행팀이 제시하는 다양한 책을 읽고 고민하면서 편향된 독서 습관을 바로잡고 내 생각의 지평을 넓힌다 .

  


< 28기 진행 도서 >

  - 필독서 ① [문학]  권여선 <각각의 계절>(출판사 문학동네)                  

  - 필독서 ② [인문]  데어라 혼 <사람들은 죽은 유대인을 사랑했다>(출판사 엘리) 

 - 필독서 ③ [논제 작성 참고자료] 김민영 외 <질문하는 독서의 힘>(출판사 북바이북)


모임 일정

일정

내 용

비고

D-2

일정 소개, 자기 소개

카톡

1

논제란 무엇인가 강의

1~7

1) 1차 필독서 온라인 읽기 (사전 공지)

표지인증->매일 읽기->발췌 공유->미니 온라인 독토

책의 주제 및 논제주제를 함께 선정

운영 공간 : 카톡방

(토론은 줌)

8~10

2) 논제 업로드

(자유 논제 1-2, 선택 논제 1-2)

11~12

2) 논제 피드백

(업로드 논제에 대한 좋은 점과 아쉬운 점 다양하게 피드백)

13~19

4) 2차 필독서 온라인 읽기 (사전 공지)

표지인증->매일 읽기->발췌 공유->미니 온라인 독토

책의 주제 및 논제주제를 함께 선정

22-22

5) 논제 업로드

(자유 논제 1-2, 선택 논제 1-2)

23-24

6) 논제 피드백

(업로드 논제에 대한 좋은 점과 아쉬운 점 다양하게 피드백)

카톡

25-28

앞서 제출한 논제 수정 보완 및 피드백

30

참여자 논제로 온라인 독토: 필독서1,2권 대상

30

참여 소감 후기 공유

카톡

* 진행 코치는 논제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 드립니다.
참여자들이 꾸준히 논제를 만들고, 서로 피드백 할 수 있도록 독려합니다.
* 정기적 온라인토론은 카톡에서만 진행되며, 평일 또는 주말 저녁에 진행됩니다.
* 논제에 대한 이해와 작성에 대한 강좌(‘논제란 무엇인가’, 1회1시간 정도)를 제공하여 논제 초보자가 논제작성에서 마주하는 어려움을 헤쳐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진행 방법

- 논제 공작소에 참가하는 참여자들은 논제 발제자이자 조언자의 역할을 합니다. 
- 자신이 만든 논제를 올리고, 다른 사람이 올린 논제에 대해서는 논제에 대해 좋은 점과 아쉬운 점, 아이디어를 나눕니다.
- 지정 필독서를 다양한 논제로 흥미롭게 토론합니다.

모임 안내

- 일정 : 위 일정 참조
- 형식 : 줌 독서토론, 논제 피드백 외
- 인원 : 10명 내외
- 문의 : 이메일(master@rws.kr)채널톡(하단우측 아이콘)


진행 - 라우승

마을 독서토론을 잘해보자고 숭례문학당을 찾았다가 독서토론 리더과정, 심화과정, 고급과정을 수료했다. 지금도 끊임없이 배움의 욕망을 쫓아 여기저기 기웃거린다. 숭례문학당에서 공부하면서 역사 · 철학서만이 아니라 소설 속에도 삶의 지혜가 넘쳐나는 걸 깨달었다. 지금도 우리가 각자의 삶을 어떻게 살아내야 하는지 답이 소설 속에 있다는 믿음으로 소설읽기에 열심이다. 독서토론과 글쓰기를 열정적으로 실천하고 있으며 평생의 재미로 삼고자 한다.


1: <도어>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2: <호밀밭의 파수꾼>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3: <어느 독일인의 삶> <일의 기쁨과 슬픔>
4: <안녕 주정뱅이> <임계장 이야기>
5: <자신의 이름을 지킨 개> <화이트호스> <공부란 무엇인가>
6: <내가 말하고 있잖아> <나는 풍요로웠고 지구는 달라졌다>
7: <동급생> <타이탄의 도구들>
8: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 <다시 책으로>
9: <니클의 소년들> <결 거침에 대하여>
10: <호밀밭의 파수꾼>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11: <달까지 가자> <어느 채식의사의 고백>
12: <마음> <노력의 기쁨과 슬픔>
13: <파친코> <삶을 위한 철학 수업
14: <밝은밤> <숲속의 자본주의자>
15: <작은 것들의 신> <마이너필링스>
16: <방금 떠나온 세계>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17: <유년의 뜰> <관계를 읽는 시간
18기 : <페레이라가 주장하다> <우리에겐 절망할 권리가 없다>

19기 : <아몬드>,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20기 : <작별인사>, <새로운 가난이 온다>
21기 : <비바, 제인> <타인의 신발을 신어보다>
22기 : <건지 감자껍질파이 북클럽>, <요즘 애들>
23기 : <사라진 반쪽>, <코로나가 아이들에게 남긴 상처들>
24기 : <친밀한 이방인>, <나는 글을 쓸 때만 정의롭다>
25기: <아버지의 해방일지> <회복력 시대>
26기: <어서오세요 휴남동서점입니다> <미움받을 용기> 
27기: <자기앞의 생> <탄소로운 식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