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고전문학 함께 읽기 (청소년)
― 읽기 > 토론 > 마무리 글쓰기까지 ―
해마다 수능에는 고전소설이 한 작품씩 지문으로 나옵니다. 청소년들과 고전소설을 수업하다보면 읽었는데 무슨 얘기인지 모르겠다는 의견을 많이 듣게 됩니다. 500년에서 최소 200년 전 이야기에 아이들이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고전소설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고전문학의 매력은 무엇일까요? 고전 속에 담겨 있는 조상들의 희로애락을 통해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을 들여다 볼 수도 있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아이들과 우리 고전문학을 함께 읽는 모임을 준비했습니다. 이 모임은 월 2회, 우리 고전문학을 만납니다. 읽기 – 토론 – 마무리 글쓰기까지 이어지는 모임입니다. 강사는 단톡방을 통해 함께 읽기 진행과 배경 지식을 공유합니다. 토론 후에는 아이들이 제출한 마무리 글쓰기에 짧은 피드백을 해 줍니다.
■ 추천 대상
- 혼자 우리 고전문학을 읽을 엄두가 나지 않는 중학생
- 우리 고전문학을 읽었는데 도통 내용 파악이 쉽지 않은 중학생
- 중. 고등학교에서 만나는 우리 고전문학을 생각하면 머리가 아파오는 중학생
- 책읽기와 토론을 좋아하는 중학생
■ 모임 효과
- 우리 고전문학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 고등학교 문학 수업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
- 읽고 토론하면서 사고력이 확장할 수 있다.
- 우리 고전문학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다.
- 토론 후 글쓰기를 통해 글쓰기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진행 방법
- 진행자가 단톡방에 그 달의 고전문학을 공지합니다.
(1기 도서와 출판사 : <연암 박지원 단편소설 : 허생전, 양반전, 호질, 광문자전>)
- 월 2회 줌을 통해 독서토론을 진행합니다.
- 토론 후 마무리 글쓰기를 합니다. (500자 이내)
■ 진행 예정 도서 목록 (출판사 등 세부사항은 단톡방에서 공지하겠습니다)
| 책 제목 1 | 책 제목 2 | 비 고 |
1 | 허생전, 양반전 | 호질, 광문자전 | 풍자도덕소설 |
2 | 만복사저포기(금오신화)/이생규장점(금오신화) | 취유부벽정기(금오신화) 남영부주지,용궁부연록 (금오신화) | 애정소설 한문소설 |
3 | 심청전 | 흥부전 | 가정소설 |
4 | 유충렬전 | 홍길동전 | 영웅소설 |
5 | 토끼전 | 장끼전 | 풍자소설(우화) |
6 | 홍계월전 | 임경업전 | 영웅군담소설 |
7 | 구운몽 | 춘향전 | 몽유소설/애정소설 |
8 | 사씨남정기 | 장화홍련전 | 가정소설 |
9 | 공방전 - 북앤북펴냄 | 국순전-북앤북펴냄 | 가전소설 |
10 | 이춘풍전 | 배비장전 | 풍자도덕소설 |
11 | 옹고집전 | 봉이 김선달 | 풍자도덕소설 |
12 | 최척전 | 박씨부인전 | 전쟁소설 |
■ 모임 안내
- 기간 : 2024. 12. 16 ~ 2025. 1. 10 (4주)
- 토론 일자 : (모임 시작 후) 둘 째 주와 넷째 주 토요일 밤 9시 ~ 10시 30분
- 장소 : 온라인 카페 (네이버), 카카오톡
- 인원 : 10명 내외
-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 채널톡(홈페이지 우측 하단 아이콘)
* 아이들과 함께 한 수업 진행을 공유할 수 있게 부모님 성함으로 신청해 주세요.
■ 운영자 소개 - 최선화
교학상장(敎學相長)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숭례문학당 강사이자, 아이들과 책을 통해서 이야기를 나눈 지 20년이 되어가는 책 선생님이다. 학당에 오기 전 도서관, 학교, 문화센터, 교습소 등에서 성인과 학생들에게 독서토론 수업, 책 만들기, NIE 학습을 진행했다. 학당에서 리더, 심화, 고급과정을 수료했다. 학당에서 <포토테라피 사진놀이>, <50인의 그림책 작가>, <김금희 전작 읽기>를 진행했으며 <작가 중심으로 그림책 읽기>, <신문칼럼 요약하기(청소년)>, <식물의 재발견>, <걷기의 재발견> 모임을 진행하고 있다. 외부모임으로 24년 한 고등학교에서 독서토론 120회를 진행했고,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와 도서관 독서토론 모임, 성인 대상 독서토론 모임, 필사와 낭독 모임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