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북클럽 27기

교양 북클럽 (온라인)

 

독일 철학자 페터 비에리는 교양인이란 자신만의 방향성이 있는 사람이라고 말합니다. 어쩌면 교양인은 누군가 의도를 가지고 다가와 를 흔들려고 할 때 자신을 지킬 힘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교양을 쌓는다는 건 내가 판단할 수 있도록 알아간다는 뜻일 텐데요. 남이 나 대신 해줄 수 없습니다. 그 길로 가고 싶어도 혼자 찾으려면 힘겨운 시간이 되기도 합니다. 숭례문학당에서 오랜 시간 이어온 <교양 북클럽>에서 여러분의 앎과 이해를 보다 단단하고 넓게 확장해 나가면 어떨까요. 나 그리고 다른 사람이 이해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의견을 나누면서 함께 점검할 수 있습니다.

한편, 독자들의 독서 멘토 사이토 다카시는 교양서 읽기를 강조합니다.

교양서는 한층 광범위한 지식 체계로 들어가는 입구가 되어준다. 한 권을 읽으면 보다 수준 높은 책을 두 권, 세 권 더 읽고 싶어진다. 그런 흡입력이 있다. ‘지식욕이란 것은 자극을 받으면 누구라도 생겨나게 마련이다독서력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문학 작품 100권과 교양 도서 50권을 내세웠는데, 왜 100여 권의 책을 기준으로 했을까그것은 독서가 기술로서 질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경계선이 얼추 100권이기 때문이다.” 독서력》 중에서

시간 내기 어렵고, 무엇을 읽어야 할지 망설여지는 분들을 위해서  교양 북클럽을 준비했습니다. 독서력은 문학 작품과 교양서를 다양하게 읽고, 다른 사람과 독서 경험을 나누면서 향상될 수 있습니다고전문학, 인문학, 사회과학, 철학, 에세이 등 다양한 분야의 책을 함께 읽으면서 의견을 교환해볼까요? 상황 판단력과 객관성을 키우고, 삶의 문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한 달에 두 권을 읽는다면 일 년이면 24권을 읽을 수 있습니다책을 읽는 습관을 만들면 독서력 차이가 나타나는 기준점, ‘100이 만들어집니다. 혼자 하면 어렵지만, 함께 하면 즐거운, 교양 내공 쌓기 여행을 떠나볼까요?

   

  

 

 모임 효과

 - 독서력을 키웁니다.
 - 독서하는 습관을 만듭니다.
 - 논리력과 설득력이 커집니다.
 - 질문하면서 책을 읽는 습관을 기르게 됩니다.
 - 교양서 읽기로 독서의 폭을 넓힐 수 있습니다.
 - 다른 사람과 생각을 나누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습니다.

■ 진행 방법

 - 각자 책을 완독한 후, 독서토론에 참여합니다. (첫 토론하는 날이 78일 월요일입니다)
 - 카톡방은 첫 토론 하는 날 기준으로 1주일~2주일 전에 오픈합니다.
 - 토론 1-2일 전에 제공되는 논제(운영자가 카톡방에 올림)를 보고 각자 생각 정리를 합니다.
 - 읽은 책에 대한 별점, 소감, 논제에 대한 의견을 나누면서 온라인공간에서 토론합니다.
 - 온라인 독서토론은 카카오톡 단체방에서 진행합니다.(월요일 밤 10~1150)
 - 전두환의 마지막 33일리아스(호메로스, , 2015, 1~12)은 카톡 단체방에서 토론을 합니다.
 - 소년과 두더지와 여우와 말 일리아스(호메로스, , 2015, 13~24) 카톡 단체방에서 토론한 후 글쓰기를 합니다
 * 상황에 따라 진행 방법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세부 일정

일시

분야

대상 도서

비 고

7. 8.

()

그림책

소년과 두더지와 여우와 말
(찰리 맥커시, 상상의힘, 2020)

카카오톡 토론((10~1050)

토론 후 글쓰기(11~1150)

7.22

()

비평

전두환의 마지막 33
(정아은, 2023, 사이드웨이)

카카오톡 토론

(1: 10~1050)

(2: 11~1150분)

8.5

()

고전

일리아스
(호메로스, , 2015) 1~12

카카오톡 토론

(1: 10~1050)

(2: 11~1150)

8.19

()

고전

일리아스
(호메로스, , 2015) 13~24

카카오톡 토론((10~1050)

토론 후 글쓰기(11~1150)

* 도서는 모임 참여자들의 협의를 통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28기 예정 도서

 1안녕(안녕달 글그림, 창비, 2018)
 2떨림과 울림(김상욱, 동아시아, 2018)
 3좋으실 대로(윌리엄 셰익스피어, 민음사, 2023)
 4마흔에 읽는 니체(장재형, 유노북스, 2022)

 모임 안내

 - 일시 : 상단 일정 참조 (격주 월요일, 저녁 10시~11시 50분)
 - 장소 : 온라인 (카카오톡+ZOOM)
 - 인원 : 15명 내외
 -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 채널톡(홈페이지 우측하단)

 진행자 : 오수민

숭례문학당 강사그림책 활동가독서토론과 글쓰기에 관한 강의를 한다숙명여대 의류학과 이학박사로 경북대숙명여대한국방송통신대에서 강의를 하다가 숭례문학당을 통해 독서글쓰기의 즐거움에 빠졌다. 2020년 1월부터 어린이 온라인 글쓰기’ 프로그램을 만들어 전국의 어린이에게 글쓰는 재미를 전파하고 있다학교도서관교육청한겨레교육에서 강의를 하거나 토론을 진행했다숭례문학당에서는 <교양북클럽>, <작가처럼 쓰기>, <오수민의 어린이 글쓰기>, <어린이 독서토론>을 운영한다충북 CBS 라디오방송 시사포워드에서 만만한 글쓰기〉 코너의 작가국립중앙도서관 국중상담소’ 책처방전 작가로 활동했다숭례문학당 독서일보 <그림책이 좋다코너에서 활동 중지은 책으로 아이들이 마음으로 글을 씁니다가 있으며, 온라인 책 모임 잘하는 법그림책 모임 잘하는 법일상 인문학 습관을 공저했다. 

<참여 후기>

1기  ㅡ>  바로 가기 (진행자)
1기  ㅡ>  바로 가기 (참여자)
2기  ㅡ>  바로 가기 
3기  ㅡ>  바로 가기 
4기  ㅡ>  바로 가기
5기  ㅡ>  바로 가기
6기  ㅡ>  바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