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영어원서 낭독 <Nexus>
― Read & Talk in Winter ―
비인간 지능의 위협과 우리의 미래에 대한 경고
《Sapiens》로 우리 시대 가장 중요한 사상가의 반열에 오른 유발 하라리 교수가 6년만에 신작 《Nexus》로 돌아왔습니다. 그는 압도적 통찰로 AI 혁명의 의미와 본질을 꿰뚫어 보고 인류에게 남은 기회를 냉철하게 성찰합니다.
유발 하라리 교수는 질문합니다. 생태적 붕괴와 국제정치적 긴장에 이어 친구인지 적인지 모를 AI 혁명까지, 인간 본성의 어떤 부분이 우리를 자기 파괴의 길로 내모는 것일까? AI는 이전 정보기술과 무엇이 다르고, 왜 위험할까? 멸종을 향해 달려가는 가장 영리한 동물, 우리 사피엔스는 생존과 번영의 길을 찾을 수 있을까?
아침 루틴으로 원서를 낭독하고, 책의 각 부가 끝나는 주말 저녁마다 요약 및 정리토론을 진행합니다. 학교 제출 보고서용 글쓰기의 기본형식을 제공하여 작성토록 안내합니다.
■ 원서 읽기 요령
- 눈으로 읽으며, 모르는 단어를 표시합니다.
- 모르는 단어나 해석이 어려운 문장 등을 공부하고, 그날의 문장을 뽑아봅니다.
- 오디오북을 들으며 눈으로 따라 읽습니다.
- 음원을 들으며 반복적으로 따라 읽습니다.
- 평소에 오디오북을 자주 듣도록 합니다.
■ 원서 읽기 효과
- 매일 영어 읽기와 필사 습관을 기를 수 있습니다.
- 읽고 말하는 과정은 언어를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영어 낭독을 통해 말하기와 발음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 진행자의 리드대로 따라오면 완독하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청소년기의 주인공과 함께 성장해 가는 나를 발견합니다.
- 원문과 우리말 번역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 모임 진행
- 운영자는 매일 아침 오늘의 낭독 분량과 주요 단어내용을 업로드 합니다.
- 운영자는 참여자가 꾸준히 원서를 읽고 낭독할 수 있도록 격려합니다.
- 주말에는 주중에 못하거나 빠졌던 과정을 보충하며, 자신만의 학습 시간을 갖습니다.
■ 진행 방법
- 영어원서 읽기가 부담스러운 사람들은 한글 번역본을 미리 읽습니다.
- 매일 정해진 분량을 아침 9시에 줌으로 모여 낭독합니다.
- 토/일,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에 매일 진행됩니다.
- 낭독을 기본으로 진행하되, 그날의 문장은 손 필사하거나 컴퓨터 필사하여 기록합니다.
- 정기낭독 미참여자는 필사 노트나 녹음 앱을 준비하고 낭독 파일을 올립니다.
- 진도를 체크하고, 완주할 수 있게 격려해 드립니다.
- 매일 일정에 따라 생소한 어휘의 단어장을 제공해 드립니다.
- 현재 미국학교에서 쓰이는 표현을 책 속 문장과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눕니다.
■ 모임 일정
주차 | 기간 | 분 량 | 페이지 | 비 고 |
1주차 | 2025.1.6. ~ 1.10 | prologue,ch1 ~ch 2 | p.3~40 | 아침 9시 낭독 시작 |
2주차 | 1.13 ~ 1.17 | ch3 ~ ch4 | p.40~101 | |
3주차 | 1.20 ~ 1.24 | ch4~ch5 | p.79~152 | |
4주차 | 1.27 ~ 2.7 | ch5 ~ ch6 | p.153 ~ 229 | |
5주차 | 2.10~2.14 | ch8~ ch9 | p.230 ~304 | |
6주차 | 2.17 ~2.21 | ch10 ~ch11 | p.305~ 347 | |
7주차 | 2.24~2.28 | epilogue/ essay writing | p.348~394 |
* 진행일정은 과정 진행시 변동가능함.
■ 모임 안내
- 기간 : 위 일정 참조
- 시간 : 매일 오전 9시 줌에 모여 40분 정도 함께 읽습니다. 개별 참가 가능
- 장소 : 온라인 (카카오톡)
- 대상 : 중학생 이상
- 인원 : 15명 내외
- 문의 : 이메일(master@rws.kr) / 채널톡(홈페이지 우측 하단 아이콘)
■ 진행자 — 조혜원 강사
숭례문학당 강사. ‘꾸준히 노력’하는 삶을 산다. 원서 읽기, 운동하기, 서평쓰기를 계획하고 실천한다. 자신의 성취감에서 나아가 타인의 성장에도 같이 기뻐하며 Reader에서 Leader로 성장중이다. 지자체, 교육기관, 연수원에 독서토론과 글쓰기 강의로 출장중. 학당에서 <달리는여자: 100일>, <서경식전작읽기>, <청소년 글쓰기의 최전선>, <청소년 온라인 독서토론> 등을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