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장 필사와 리라이팅> 모임은 작가들의 어휘와 문장을 가지고 노는 놀이터입니다.
저는 글쓰기 모임 중에서 리라이팅 모임을 가장 좋아합니다. 한 문단만 써도 되니 부담이 적습니다. 한 편의 완성도 있는 글을 써야 한다는 중압감에서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수확은 평소 생각만 하던 것을 정리한 글이 남는다는 것입니다.
<명문장 필사와 리라이팅>은 글을 잘 쓰고 싶은 사람들이 모여 글 연습을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글을 잘 쓰고 싶지만 글쓰기가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좋은 문장에 기대어 글 쓰는 법을 안내하고, 함께 연구하며 실제로 써 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한 장르로 치우치지 않기 위해 월요일은 소설, 화요일은 학자, 수요일은 시인, 목요일은 기자의 글로 각 요일마다 각기 다른 장르의 글을 선정하여 리라이팅 예시문으로 올렸습니다. 이번 1기에서는 소설가 권여선, 과학자 김상욱, 시인 나희덕의 글을 깊게 읽었습니다.
권여선 소설가의 문장에서는 뛰어난 인물 묘사, 배경 서술로 사건의 내용을 암시하는 방식, 간명한 문장으로도 성취해내는 인물간의 갈등 관계 등이 드러나는 예시문을 선정하였습니다.
과학자인 김상욱 교수님의 글에서는 어려운 과학적 지식을 쉽게 설명하는 예시가 풍부한 문장들, 단순한 지식 전달 문장 사이에 은근히 숨어 있는 자기만의 의견, 딱딱하게 느껴지는 물리를 바라보는 저자의 따뜻한 시선이 드러나는 문장들을 예시문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나희덕 시인의 글 중에서 어휘에 대한 섬세한 감각, 상황을 설명하지 않고 시어로 그려내는 능력, 친숙한 것과 낯선 것을 병치하여 그려내는 문장들을 골라 예시문으로 삼았습니다.
선정된 예시문도 좋았지만, 글벗들이 남기는 리라이팅 결과물을 읽을 때에는 매우 즐거웠습니다. 번뜩이는 기지와 발랄한 유머, 사회에 대한 깊은 관심, 지친 하루를 스스로 다독이는 의연한 태도가 묻어나는 글들을 매일 읽는 행운을 누렸습니다. 이 모임을 오래오래 함께 하고 싶습니다.
리라이팅 1기 글벗들의 참여 소감으로 마무리 인사를 대신합니다.
글 / 김선화 강사
이 수업을 하면서 늘 ‘왜 이렇게들 잘하는 거야?’ 하는 생각에 포기할 뻔했어요. 하지만 좋은 글을 쓰려면 겪어내야 할 과정이라 생각하고 임하고 있습니다. 1기를 마치며 중도 포기하지 않기를 잘했다는 생각과, 마무리 시간에 의견을 나누며 칭찬을 들으니 힘이 납니다. 더욱 화이팅하자는 다짐이 서네요. 감사합니다.
<전#숙>
쉽지 않은 여정이었지만 김선화 코치님의 따뜻하고 예리한 피드백과 글벗들 덕분에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혼자 했더라면 어려운 예시문과 씨름을 하다가 포기하지 않았을까 싶어요.(시작도 안했을 것 같네요ㅎㅎ) 일상에서 관찰하고 느낀 것들이 좋은 소재가 된다는 깨우침에 좀 더 애정을 갖고 주변을 살피겠다는 마음도 올라와 따뜻해지는 마지막 날이네요. 감사했습니다.
<김#진>
저도 다른 분들이 다들 너무 표현력도 좋으시고 잘 쓰셔서 위축되었는데요, 그냥 제가 제일 베이스(?)라고 생각하고 그냥 ‘에라 모르겠다, 되는 데까지 쓰자!’ 라고 썼어요. 너무 머리 터지게 고민해서 쓰려고 하면 오히려 부담되고 하기 싫을 것 같아서 그냥 30분 내로, 어떨 땐 10분 내로 진짜 대충 썼거든요. 시도해본다는 느낌으로요. 그래서 제 글이 보잘것없다는 건 알지만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장#경>
일반적인 필사 말고 좀 다른 방법이 없을까. 필사 경험이 미흡해 어떤 글을 필사해야 하는지 막연하기도 했구요. 이번 기회를 통해서 값진 경험을 했습니다. 마지막 날 필사는 했는데 리라이팅을 못해서 올리지 못했어요. 마무리하고 다음 기수 기다리겠습니다.
<임#경>
필사를 통해서 빠르게 넘어갔던 글들을 느릿느릿 보면서 그 글에 담긴 의미와 구조를 되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저자의 필체, 논리, 어휘 사용에 대해 더 깊게 들여다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같이 필사하는 분들의 리라이팅을 보면서 다양한 관심사와 내면이 글로 드러나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리라이팅에 대한 피드백을 주시고 수업을 이끌어주신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이#주>
필사리라이팅은 글을 면밀하게 느낄 수 있는 과정이었다. 작가의 생각과 의도를 파악하고 나의 생각을 마치 작가가 된 듯 표현해 보는 시간이었다. 기존에 필사를 하고 있었고 바꿔쓰기를 하고 있었는데 리라이팅은 색다른 경험이었다. 바꿔쓰기는 글의 구조와 의도를 파악하여 나의 말로 다시 쓰는 것이라면, 리라이팅은 그 모든 것을 파악하고 재창조하는 부분이 다른 점이었다. 조금 아쉬운 점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글감을 제시하지 않고 목요일까지라는 점이 아쉬웠으며 신문 기사를 리라이팅하는 것은 내게는 조금 다른 느낌을 주었다. 신문 기사보다는 사설이나 칼럼이었다면 어떘을까 하는 아쉬움을 남긴다.
<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