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 독서토론을 하는 사람과 독서토론을 하지 않는 사람이다. 한 권의 책을 읽고 저자가 말하는 의도까지 속속들이 아는 것은 어렵다. 그런데 여러 사람이 같은 책으로 토론을 하다보면 숨겨져 있던 의도가 하나씩 밝혀지며 저자와 합작한 나만의 책으로 완성된다. 한 권의 책에 내 사고와 경험, 그리고 사람들의 생각들이 버무려져 기억에 굳건히 남는다.
토론에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논제다. 숭례문 학당에서 진행하는 ‘독서토론 입문과정’에서 논제의 역할을 제대로 알았다. 책을 읽으며 인물들이나 사건의 연관성을 제대로 챙겨보지 않았는데 논제를 통해 완전히 새로운 관점을 얻었다. 특히 예리하게 파고드는 발제문은 토론의 깊이를 다르게 만들 수 있었다. 책을 ‘읽기’만 하는 게 아니라 문장과 사유에 숨어있는 조개를 따고 진주를 캐고 싶었다. 반짝이는 진주를 캘 수 있는 도구가 발제문이다. 나도 이런 논제를 만들어서 현재 지역에서 진행하고 있는 모임에서 적용해 보고 싶었다. 독서토론 입문과정을 두 번 듣고 험난하다고 알려진 ‘독서토론 리더과정 64기’에 등록했다.
독서토론 리더과정 64기, 결론은 험난했지만 즐거웠다. 리더 과정은 한주동안 한권의 책을 읽고 무조건 논제를 내야하는 어마 무시한 작업을 한다. 뿐만아니라 R(Reading), W(Writing), S(Speaking)을 유기적으로 하는 시스템으로 책을 읽고, 논제를 만들고, 말하기를 지속적으로 한다. 책은 문학과 비문학으로 병행하며 사회와 사람을 탐구했다. 나는 8주간 하루 24시간을 쪼개 책을 읽고 논제와 싸웠다. 논제 제출 후에는 최병일 선생님의 피가 되고 살이 되는 피드백이 이어지고 다시 논제를 구성한다.
선생님은 “정답은 집중력과 지속력입니다. 지속하면 나만의 콘텐츠를 가질 수 있어요. 뭐든 꾸준히 하면 기회가 옵니다.”라고 1강에서 말씀하셨다. 이 말씀이 우리 64기를 꾸준하게 지속시킨 힘이다. 64기 열두 명의 멤버는 각자 다양한 색깔로 논제를 만들고 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우리는 기본적으로 책을 좋아하고 논제를 만들어 풍성한 토론을 이끌고 싶은 공통된 마음으로 만났다. 똑같은 책을 가지고 각자의 환경과 삶의 역사가 만나 다른 세상을 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 문장 사이를 헤엄쳐 다니며 숨겨져 있는 조개를 볼 수 있는 눈을 키웠다. 내가 토론하고 싶은 논제가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의미 있는 토론거리를 제공해야 한다는 기본 전제가 마음에 박혔다.
책을 읽는 것은 어떻게 살 것인가 답을 얻기 위함이다. 그리고 논제와 토론은 더 깊고 넓은 관점으로 그 답을 구하는 과정이다. 이제 난 독서토론 리더과정을 들은 사람과 듣지 않은 사람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사람과 사람이 가장 생산적으로 삶을 나누는 방법은 독서토론이다. 그리고 독서 이후 개개인의 능동적인 삶이 따라온다. 책을 좋아하고 토론을 좋아한다면, 삶을 더 생생하게 만들고 싶고 인생의 의미를 찾는 사람이라면 냉큼 독서토론의 세계, 그리고 ‘숭례문 학당’의 독서토론 리더과정에 등록하시기 바란다.
(민*숙)